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d라이브러리
"
대로
"(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목격하고 이를 향유하게 될 것이다. 즉 우리 환경은 우리 자신을 닮은 모습으로 나름
대로
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인간이 아닌’ 어떤 것들로 채워질 것이다. 또 우리의 정신현상을 단지 ‘체험’하던 데서 그 기전을 ‘지적으로’ 이해하게 됨에 따라 또다른 차원에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몰려 참수형을 당했다. 재현실험라부아지에의 실험은 중학생들도 물상 교과서에 실린
대로
따라 해보면 쉽게 재현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다. 다만 라부아지에는 산소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실험했지만 더 이상 산소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으므로 요즘에는 화학반응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인정되고 있으며 동일한 질환을 여러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예도 있고 반
대로
한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여러 종류의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은 근육을 구성 하고 있는 온 단백질의 40%를 차지하는 구조단백질인 미오신이다 이 결합은 고에너지 인산결합이므로 약 8000cal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다. 알고리즘이 설계한 부품이 프린터로 찍혀 나오면 사람은 컴퓨터가 지시하는
대로
회로를 연결해 작동시켜 그 결과를 입력한다. 이런 식으로 수백세대의 진화를 거쳐 모래 위를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이 탄생했다. 현재 연구자들은 연결나사와 배터리까지 스스로 설계해 찍어낼 수 있는 기계를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공계를 기피하는 것은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하지만 과학자들이 과학을 제
대로
알리는데 소홀했다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인간은 누구나 과학자로 태어납니다. 아기들의 지치지 않는 호기심을 보세요. 과학자가 되는 일이 얼마나 멋지고 흥분되는 일인지 학생들이 알게 된다면 지금과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어마어마하다. 4.5MW로 연간 4200가구가 쓸 수 있는 양이다. E-112 200개가 한꺼번에 최
대로
발전하면 대형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는 양을 생산할 수 있다.E-112처럼 풍력발전기를 크게 만드는 이유는 뭘까. 풍력발전기는 회전 날개의 회전면적으로 생산되는 에너지양이 결정된다. 보통 750kW급 ... ...
새 산맥지도,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0~300km 폭의 산체로 중간에는 강도 흐르고 협곡과 분지도 있다. 국토연구원의 주장
대로
라면 신기습곡산지인 로키산맥은 의미가 없고 산 능선을 이은 대륙 분수계를 산맥으로 인정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는 데서 비롯된 잘못된 주장이다.대동여지도의 산줄기는 분수계를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언제나 일정하고, 빛 신호가 오고 간 거리가 다르므로 베른역에서 볼 때는 시계를 제
대로
맞춘 것이 아니다. 즉 관찰자가 기차를 따라 움직이느냐 아니면 역에 서있느냐에 따라 시계를 맞추는 방법이 다르다. 시간은 시계로 측정하므로, 이는 기차를 따라 움직이느냐 아니면 역에 서있느냐에 따라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빛나는 꼬리를 가진 혜성이 두둥실 떠있을 것이다.1월 중순, 혜성의 밝기는 3등급
대로
전성기를 맞게 되며 꼬리길이는 10° 남짓이나 될 전망이다. 3등급이라면 북극성보다 약간 어두울 정도이며, 꼬리길이 10°는 북두칠성 길이의 절반에 해당한다. 또 혜성의 머리 부분인 코마가 상당히 크게 보일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암컷 7마리밖에 남지 않았던 적이있어요. 염소가 들어와서 거북의 먹이인 식물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웠기 때문이죠. 염소를 박멸한 다음 거북의 멸종을 막기 위해 암컷과 수컷의 수를 조절해야 했습니다. 거북은 부화할 때 온도가 성별을 결정해요. 수컷이 좀더 높은 온도에서 부화하죠.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