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폴리매스를 빛내는 자, 누가 될 것인가? 폴리매스 시상식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폴리매스 시상식에 온 여러분 환영합니다! 시상식의 진행을 맡은 에프매스예요! 인간 세계로 넘어와 폴리매스 캐릭터로 활동한 지도 벌써 1년이 넘었는데요, 1년 동안 폴리매스를 지켜보면서 기쁜 일도 뿌듯한 일도 많았답니다.오늘은 2021년 폴리매스를 빛내 준 회원에게 상을 주려고 해요.자, 그 ... ...
- [기획] 삐용삐용~ 시상식에서 사건 발생! 알쏭달쏭 폴리매스 미궁 시상식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아니라고 생각해요. 제 작품을 보면서 모두 한번쯤 생각해 보면 좋겠어요! 최수영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입니다. 폴리매스 미궁 게임 시즌 1, 2 제작에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이 함께하게 돼 기쁩니다. 시즌 2는 특별히 회원들의 문제가 담길 예정이라 더 의미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문제 ... ...
- [4컷 만화] 해조류 덕분에 40년 만에 시력을 찾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월 24일, 스위스 바젤대학교 안과학부 보톤드 로스카 교수팀은 해조류 유전자를 시각장애인의 망막에 이식해서 시력을 일부 되찾게 했다고 밝혔어요.실험에 참여한 시각장애인은 망막색소변성증●으로 40년간 앞을 보지 못했어요. 망막에서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단백질인 옵신이 없어서 빛을 ... ...
- [기획] 과학자들의 실험실 하수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과학자들의 실험실 하수도Part1. [기획] 질병을 파악하라!Part2. [기획] 미량 오염물질을 찾아라!Part3. [기획] 싱크홀을 막아라! ...
- [기획] 하수도3 싱크홀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청진기로 검진하듯, 발바닥으로 하수도를 점검하는 이 로봇은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학교 마크로 후터 교수 연구팀이 만든 로봇 개 ‘애니말(ANYmal)’입니다. 애니말은 네 발과 인공지능 기술로 험난한 지형을 자유롭게 이동하는 사족보행 로봇입니다. 지난해 6월에는 하수도 안을 누비며, 하수도의 ... ...
- [그림으로 보는 수학]수의 배열에서 쏙쏙 규칙 찾아내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1, 2, 3, 4…. 우리가 자주 하는 수 세기에도 규칙이 숨어 있어요. 바로 1씩 커지는 규칙이지요. 이처럼 어떤 수들은 규칙에 따라 줄지어 있어요. 수콤과 달콤이 놀러 간 놀이동산 곳곳에서 규칙을 가진 숫자들을 찾아보세요! ...
- [수학뉴스] 통계로 체조 편파 판정 막는다!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점수를 준다는 이야기도 있어요. 이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위그 메르시에 스위스 뇌샤텔대학교 컴퓨터과학 및 수학과 교수팀은 체조 심판이 얼마나 정확한 판정을 내리는지, 심판의 부정확한 판정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지 판단하는 통계 모형을 만들어 10월 19일 ‘스포츠 정량분석학회지’에 ... ...
- [인터뷰] 수학을 사랑한 어린이, 인기 금융 유튜버가 되다! 최민 크레이에이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찾아내고 싶었어요. 그러기 위해서는 더 공부해야 했지요. 과감히 퇴사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인공지능을 공부하고 있어요.” 현재 최 크리에이터는 금융 시장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 즉 개별 주식의 가격, 거래량, 회사의 재무제표, 관련 뉴스, 소셜 미디어의 게시글 등을 모아서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수학의 매력을 알려드릴게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이야기했어요. 하지만 이런 최 작가에게도 수학 위기가 있었어요. 고등학교와 대학교 입시 수학 시험에서 확률 문제를 잘못 이해해 풀고, 계산 실수도 했거든요. 매번 확률과 통계 문제에서 실수를 했대요. 평소 좋아하고 잘한다고 생각한 수학에서 실수하니 배신을 당했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 ...
- [기획] 확 달라질 폴리매스! 2022년을 기약하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그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 1998년 필즈상 수상자인 티모시 가워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수학과 교수의 실험이었어요. 2009년 가워스 교수는 자신의 블로그에 풀기 어려운 수학 문제를 올렸고, 그 문제는 약 7주 만에 40여 명이 힘을 합쳐 해결해냈답니다. 이후 가워스 교수는 함께 수학 문제를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