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유닛을 점대칭 도형★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무게중심에서 각 꼭짓점 방향으로 그은 선으로 정다각형을 나눠서(중심 분할) 삼각형 조각으로 만들어야 한다. 점대칭 도형★ 도형을 대칭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처음과 합동이 되는 도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으로 ... ...
- 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놀러온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속이 빈 원! 반만 맞은 대답이에요. 클라인 병이 어떤 방향으로 3차원에 오느냐에 따라 모습이 다르거든요. 클라인 병 롤러코스터가 하늘에서 뚝 떨어져 들어오면(가로축 기준) 어떤 한 시점에서 속이 빈 원으로 보일 거예요. 하지만 세로축을 기준으로 3차원에 오면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분석을 토대로 설계해야 안정적으로 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공간에서 물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려면 물체의 움직임을 3차원 좌표축 위에 나타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사는 3차원 공간에서 기하학이 이용되지 않는 곳은 없다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미래에는 기하의 역할이 더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모두 그 자리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정부가 바뀌고 책임자가 바뀌면서 최선을 다한 방향이 틀어져 버린 거죠. 공학하는 분들은 알겠지만, 처음에 각도가 5도만 틀어져도 나중에 굉장히 많은 거리 차이가 나잖아요. 누구 한 사람의 잘못보다는 피할 수 없는 타이밍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없었던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디자인을 적용했다. 저울을 가동할 때 힘이 수직방향 외에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피스톤 실린더, 스프링 가이드 등을 추가했다. 기존의 키블 저울을 똑같이 재현하는 ‘지름길’을 두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한 이유가 뭘까. 이 책임연구원은 “나라마다 키블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R100을 움직이는 버튼이 나타난다. 상승과 하강, 전진과 후진, 좌회전과 우회전 등 6개 방향으로 조종이 가능하다. 로봇이 수심 몇 m에 있는지 위치를 심도로 알려주고, 어두운 곳에서는 로봇에 달린 전조등을 켤 수 있으며, 카메라를 위아래로 움직여 원하는 위치를 촬영할 수도 있다. 대회 미션은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그리고 밀리는 스톤의 운동량이 변한 만큼(작용) 미는 스톤의 운동량도 그 반대 방향으로 동일하게 변한다(반작용). 운동량의 총합은 각각의 운동량 증가와 감소가 서로 상쇄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데, 이는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실제 경기에서는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추가해야 하는데, 한가운데 추가하면 나머지 4개가 모퉁이에 있어야 해서 반드시 대각선 방향으로 삼목이 생기고, 한가운데 ×가 없으면 네 모퉁이에 ×가 들어가야 하므로 맨 윗줄에 삼목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n차 아핀평면 틱택토n차 아핀평면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점 n2개의 모임을 말해요.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산하 농업생물학연구소, 북한 밭작물 연구소 고구마육종연구실과 함께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고구마를 이용한 북한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이 머리를 맞댈 경우 일차적으로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고구마 품종을 선발하는 작업부터 진행해야 한다. 이후 무균 묘를 생산해 북한 현지에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및 의약계열의 정원보다 인문, 사회계열의 정원을 늘리거나, 혹은 기존 정원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갔다. 그 결과 심각한 미스매치가 발생했다. 문제는 이런 미스매치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미 공급과잉이 존재하는 계열로 진학했던 사람이 다시 다른 분야로 전환하는 데 많은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