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용수의 범용단위는 '리터'(liter)다. 1ℓ는 1천cc(입방센티미터)인데 이는 10cm×10cm×10cm의
부피
단위이고 우리의 재래식 척관법 단위로 환산하면 약 5홉 5작쯤 된다.각 가정의 상수도 계량기는 입방미터(㎥) 단위로 물의 사용량을 계량하도록 표기되어 있고 다달이 징수하고 있는 상수도 및 하수도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속도나 성능은 중형이나 대형에 못미치나 작은
부피
와 저렴한 가격으로 현재의 PC와 같은
부피
로 어떤 일반 환경에서도 컴퓨터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반도체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중형 컴퓨터에 접근하는 성능을 나타내고 있어 점차 구분이 힘들어지고 있다.마이크로프로세서는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플라스틱 모형 공룡을 물속에 집어넣고 아르키메데스 원리에 의해 체적(물이 불어난
부피
)을 계산한다. 여기에 악어나 포유류의 밀도(보통 1t/㎥)를 곱하면 몸무게가 나온다. 가장 큰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르스 체중은 7t, 가장 큰 초식공룡 브라키오사우르스는 아프리카 코끼리의 10배인 50t에 이른다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대기중에서 반응, 작은 황산염 에어로졸이 된다. 대기중에 유입되는 화산재 등 분출물의
부피
는 1㎦ 정도지만 그 이상도 될 수 있다. 1883년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토아(Krakatoa)화산이 폭발한 수시간 후 화산으로부터 2백50㎞ 떨어진 자바의 반둥(Bandung)시 하늘은 대낮인데도 불구하고 화산재 때문에 매우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전진 쪽 로터 끝의 상대속도가 다른 쪽보다 크며 음속에 가깝게 접근하므로 로터의
부피
로 인한 소음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소음은 앞쪽으로 멀리까지 전파돼 도심지에서 헬리콥터소음이 큰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착륙시에는 블레이드 상호작용으로 또다른 심한 소음, 즉 '블레이드 슬랩'이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하지 않고 부유한 영토를 확대시킨 것과 비슷하다.위의 두 경우를 비교하면 늘어난
부피
에 비례해서 전체 에너지가 늘어나는 진공의 팽창에서는 기체의 경우와는 반대로 압력이 마이너스로 작용하는(즉 장력이 작용하는) 탄성체에 비유된다. 이는 고무줄이 늘어나는 것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사용하던 에니악의 무게는 30t, 사용된 전선의 길이가 1백30㎞, 50평의 연구실에 꽉차는
부피
를 지녔다. 미국의 모든 통계자료를 처리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에니악은 '두대도 필요없고 오직 한대면 족한다'라는 커다란 기대를 심어주었다.그때부터 시작된 컴퓨터의 진화는 미처 40년도 되지 않은 8 ... ...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느낌이 확실치않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이런 불만들은 무게와
부피
를 최대한 줄인 데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결과이므로 사용자가 습관에 의해 익숙해지도록 감내하는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배터리노트북의 최대 특징은 옆구리에 끼고 다닐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비롯해 각종 발열(發熱)부작용, 알레르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한 방울의 혈액은 그
부피
만한 폭발물을 체내에 주입해준 것과 같다"고 그 위험성을 지적한다.특히 AIDS는 대단한 골칫거리다. 우리나라에서도 헌혈된 피를 대상으로 AIDS항체검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안심할 ... ...
왕관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여러분은 불규칙한 물체의
부피
를 계산해 낼 수 있는가? 이미 B.C.300년경에 이를 정확히 계산해 낸 과학자가 있었다.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