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
선발
결정
발췌
발탁
취사
지정
d라이브러리
"
선정
"(으)로 총 1,996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2006 동물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왼쪽을 맡아 공격하는 윙포워드가 있어요. 스트라이커는 몸싸움과 헤딩능력, 위치
선정
능력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득점능력이 뛰어나야 합니다. 윙포워드는 득점능력과 뛰어난 스피드, 측면돌파능력 외에도스트라이커에게득점기회를 만들어 주는 능력도 필요하지요. 어떤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맞춰 미국 하버드대의 과학잡지 ‘애널스 오브 임프로버블 리서치’(AIR)가 1991년부터
선정
해온 ‘이그 노벨상’(ig Nobel Prize)은 올해도 어김없이 ‘엽기발랄한’ 과학연구에 수여됐다. 하루에 1만2000번이나 나무를 쪼는 딱따구리가 왜 뇌진탕에 걸리지 않을까(조류학), 손톱으로 칠판을 긁는 소리에 ... ...
우주정거장서 국산 귀마개 끼고 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및 텔레파시 실험 등이 눈길을 끌었다.최기혁 항우연 우주인사업단장은 “평가회의에서
선정
한 몇 가지 과학실험을 갖고 10월 말 러시아를 방문해 협의할 예정”이라며 “ISS에서 사용할 소음방지용 귀마개도 유망한 후보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한국 우주인이 1주일간 머물 ISS의 러시아 ... ...
조상님들은 옛날부터 골프를 즐기셨다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많은 사람들이 즐기게 되었답니다. 조선시대에는 장수를 뽑는 무과 시험의 한 과목으로
선정
될 만큼 무예로서도 인정을 받고 세종, 세조 등 임금들도 가장 즐기는 궁중 운동이 되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 서민들에게도 널리 퍼져‘장치기’라는 이름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겼습니다.격구는 ... ...
현미경으로 보는 바람떡, 싸리버섯, 보석 꽃가루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늘어난 총 226개 작품이 출품돼 대상 1개 작품을 포함한 본상 수상작 16점과 입선작 48점이
선정
됐다. 당선작은 홈페이지(biomicro.bkidc.or.kr)에서 온라인으로도 볼 수 있다.바람떡 _대상김대성 ·남한강초등학교 (지도 남한강초 오기석)모서리가 둥글게 접힌 아담한 모습이 맛있는 바람떡(개피떡) 같다. ... ...
한국형 우주식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는 우리 우주인이 수행할 과학실험 임무를
선정
하려고 노력 중이고 우주김치를 비롯한 한국형 우주식단을 준비 중이다. 우주에서는 어떤 음식을 먹을까. 한국형 우주식단의 메뉴는? 냉동 건조에서 가열 살균까지1960년대 초창기 우주음식은 각설탕처럼 한입 ... ...
태권V 생각만으로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기계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미 오래 전부터 연구돼 왔다. 게다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선정
한 ‘미래국가유망기술 21’에 지정돼 있을 정도다.BMI는 말 그대로 뇌파를 이용해 기계장치를 움직이는 기술이다. 하지만 뇌파는 매우 많은 신경세포의 활동전압이 합쳐져 나오는 복합신호다. 게다가 ... ...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봅니다”라며 전자, 기계, 건설 등 9개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활동한 엔지니어 60인을
선정
해 그들의 땀과 노력을 알릴 것이라고 설명한다.선배 엔지니어로서 선우 교수는 “사회는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실력 있는 엔지니어만이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라며 우리나라 내부 경쟁에서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한숨 돌리고 신명나게 연구하고 있습니다.”김칠민 교수는 1998년 창의연구단 단장으로
선정
됐지만 연구초기 아무런 성과를 내놓을 수 없었다. 사회적으로 이공계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배재대 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할 수 없이 타대학의 대학원생이나 연구원으로 ... ...
움직이는 3차원 홀로그램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성과는 그의 말과는 다르다.김 교수가 광굴절 재료 개발 연구를 제안해 창의연구단에
선정
된 것은 1998년. 고분자 광굴절 재료가 1995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것을 감안하면 선진국보다 3년이나 늦게 시작한 연구지만 그의 성과는 세계 최고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광굴절 물질에 빛을 쪼였을 때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