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d라이브러리
"
식
"(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확실히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컴퓨터로 계산한 우주는 우리가 우주를 관측하는 방
식
을 모델로 구현한 것이다. 컴퓨터로 재구성하는 우주도 인간의 한계를 넘을 수 없다.이런 한계는 컴퓨터의 한계라기보다 인간의 한계다. 사실 탄생 100주년에 즈음해, 필자는 튜링이 사회적인 소외 속에서 꿈꿨던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맞춰 여러 방법으로 생각을 읽어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뇌에 전극을 이
식
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은 전신마비 환자 같은 중증환자들을 돕기 위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 미국에는 200만 명, 국내에는 10만 명의 신체마비 환자가 있다. 신체마비 환자들이 보호자 도움 없이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독자가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빛은 초속 30만km의 빠르기로 움직이는 ‘광자’라는 작은 입자로 이뤄져 있다.이 작 ... 전자빔의 출력을 2배 높여 암흑광자 사냥을 계속할 예정이다. 암흑광자를 발견했다는 소
식
을 독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날을 기다려 본다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작은 알갱이들도 함께 흐르며 지하수가 흐르는 구멍을 점점 깎아낸다. 지하수길이 침
식
돼 점점 커지면서 싱크홀의 위험도 높아진다. 2007년 2월과 2010년 5월 과테말라 도심지를 4습격한 싱크홀은 허리케인이 쏟아 부은 빗물이 화산재층을 함몰시켜 만든 사례다.우리나라에서도 싱크홀이 점점 자주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늘린다. 이 민물지렁이가 이렇게 열정적으로 개체수를 늘리는 까닭은 잠자리 유충 등 포
식
자로부터 잡아먹히는 속도보다 개체수를 더 빨리 늘리기 위해서다.과학사 속에서 새로운 개념의 등장은 꼭 실험실에서만 이뤄지지 않았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공기의 저항이 없다면 모든 물체는 똑같은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강연회. 고약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청중이 가득 들어찼다.]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식
컴퓨터로, 이후 상업용 컴퓨터인 마크I로 발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지능 오딧세이Part 1. 튜링을 만나다Part 2. 생각하는 로봇Part 3. 튜링의 마지막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캐물었지만 소득이 없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도 돌아오기로 한 수학자에게서 아무런 소
식
이 없었다. K는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수학자에게 아직도 연락이 없나요?뭐 올 때 되면 오겠지…. 잠깐! 왜 목격자와 수학자가 서명한 서체가 똑같죠? 그러고 보니 이니셜도 비슷하잖아? 뭔가 이상해요.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추출물의 약효 가운데 일부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즉 유익한 장내미생물의 증
식
과 활동을 돕는 물질로 기능함으로써 얻어진다는 말이다.중국 상하이자오퉁대 리핑 자오 교수는 “약초로 만든 약은 장내미생물 대사에 뚜렷한 변화를 일으키고 약 복용이 끝난 뒤에도 이 변화가 꽤 오랫동안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관찰하다가 특이한 생명 현상을 발견하면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정확하게 확인하는
식
이다. 문제는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하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고과정을 이해하는 열쇠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숫자도 공감각과 연관이 된다는
식
이다.이 책은 이런 공감각 연구 결과를 포함해 자폐증, 언어, 미학, 통증 등에 관한 뇌과학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특히 신경증과 관련한 대목들이 눈길을 끈다. 한쪽 팔을 잃었는데도 그 팔에서 감각을 느끼는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