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있다. 미국에서는 방송 등에서 이러한 다양성 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아마
오래
지 않 아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질이 좋지 않으면 뇌 부피가 빠르게 줄어든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잠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수면 유지가 안 되는 사람일수록, 나이를 먹으면서 뇌의 전두엽과 측두엽, 두정엽의 회색질이 빠르게 위축된다는 연구다. 수면 부족으로 생기는 우울증이나 비만 유발 같은 이야기는 생략하겠다.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1억 년 뒤쯤 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런데 최근 프랑스 낭시의 로렝대 연구팀이
오래
된 수정 결정을 분석해 초창기 지구의 대기에 대해 연구했다. 그 결과 지구와 테이아의 충돌 시기를 유추할 수 있었다. 로렝대 연구팀은 지구와 테이아의 충돌이 태양계가 만들어진 지 4000만 년 뒤쯤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가장
오래
된 수학책 중 하나다. 85개의 문제와 해법이 쓰여 있다.*구장산술 중국의 가장
오래
된 수학책으로, 기원전 206년~기원후 8년 경 진나라 자료를 모아 편집한 것으로 추정된다. 모두 9개의 장으로 이뤄져 있다.]오늘날 학교에서 배우는 방정식은 모두 x와 같은 문자로 이뤄져 있다.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는 건, 바이러스와 사람이
오래
공존할수록 치사율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숙주를
오래
살려 놓아야 바이러스 자신의 번식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과학동아 2013년 8월 ‘바이러스의 인간사육’ 기사 참조).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에볼라도 감기처럼 ‘부드러운’ 질병으로 바뀔 것이다.4 아프리카 ... ...
엄마가 느낀 공포, 냄새로 유전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엄마가 느낀 공포가 아기에게 유전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놀랍게도 임신 전에 느낀 공포까지 유전된다. 비밀은 냄새다.미국 미시간대 의대 및 뉴욕대 ... 위험한 것이 무엇인지 전혀 알지 못 한다”며 “하지만 어미 쥐가 냄새를 통해 가르쳐준 위험은
오래
기억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우리나라는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느꼈다.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오래
지 않아 필즈상을 받을 한국인이 탄생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제임스 사이먼스의 강연을 통해 훌륭한 사람이 되려면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느낄 수 있었다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수소이온에 대한 저항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근육의 산성화속도가 느려지고 에너지를 더
오래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젖산내성이라 한다. 실제 볼트는 80m까지 거의 최고속력을 유지한다. 반면 우리나라 선수들은 최고속력도 얼마 유지하지 못했고 그마저 금방 떨어졌다. 무산소지구력은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다른 숙주를 찾기 전에 함께 사망했을 것이다. 이번에는 치사율이 낮아 숙주가
오래
살아남는 바람에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다른 숙주를 찾는 데 시간을 많이 번 셈이다. 바이러스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남기는 것이다. 이전의 에볼라처럼 숙주를 너무 빨리 죽이면 진화가 덜 된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자라 우리에게 천연섬유인 명주를 주고, 또 사람들에게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해 준다.
오래
전 사람들이 먹던 ‘번데기’가 2030년대에 화성에서 다시 부활할 줄이야! 처음에는 모양이 징그러워 못 먹었는데, 가공하거나 요리를 했더니 원래 모양이 없어져서 거부감이 줄어들었다. 또 화성에서는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