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d라이브러리
"
우선
"(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미래에는 머리에 다이아몬드를 꽂은 사람이 탄생할까. 뇌에 다이아몬드를 삽입해 신경을 조절하는 차세대 기술이 개발 초읽기에 들어갔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오바 ...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
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도서관에서 책 찾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라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우선
슈피처 교수의 지적대로, 사전 지식이 없으면 아무리 정보가 많아도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로는 뇌가 나태해진다. 우리 뇌는 어딘가 기억력을 의지할 곳이 생기면 금세 정보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종을 발견했다. 유산균이 우리 몸에 좋다고 인정받으려면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선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달할수 있어야 하고, 장에서 증식하며 정착할 수 있어야 한다. 독성이 없고 비병원성이여야 함은 물론이고 건강에 좋은 효과까지 발휘해야 한다. 이렇게 인정받은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책에서 양자역학이 인간의 의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펜로즈는
우선
인간의 의식에 계산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합이 홀수가 되는 두 짝수는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생각해보자. 짝수와 짝수를 더하면 언제나 짝수가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 ...
먹는 걸로 장난치면 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림을 그리기도 했어요. 이런 그림을 어떻게 그리는지 궁금하다고요? 빅토르 누네스는
우선
주변을 보고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할 사물을 선택해요. 그 다음 검은색 볼펜을 손에 쥐고 사물을 보고 생각나는 대로 그려서 여러 그림을 한 데 모으면 끝! 참 쉽죠? 친구들도 지금 바로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동남쪽의 이스라엘에서 활동하는 테러 단체가 비슷한 방식으로 공격한다는 것이다.
우선
대부분의 테러 조직은 이길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힘과 마주했을 때 테러를 실행한다. 다음 공격은 뉴스를 통해 지난 번 테러의 피해 규모를 보고 결정한다. 그리고 대다수의 테러가 특정 기간에 폭발적으로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이슬람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모스크를 찾았어요. 모스크는 이슬람교의 예배당을 말해요.
우선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인 ‘자멕 모스크’에 갔어요. 이슬람 국가에서는 도시 중심부에 ‘자멕’이라는 이름을 가진 모스크를 짓는다고 해요. 이곳 자멕 모스크 역시 1965년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정말 믿어도 될까. 내가 주고받은 메시지는 과연 안전할까. 실시간 감시 가능할까?
우선
카카오톡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자.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보내면 통신망을 통해 카카오톡 서버에 도착한다. 서버는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만일 누군가가 통신망을 장악하고 카카오톡 서버로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했을까. 무턱대고 불가능에 도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했다.
우선
지상에서 하는 예비 시험을 최대한 줄였다. 다음으로 무게를 줄였다. 미국의 화성 탐사선 메이븐의 발사 무게는 2454kg에 달한다. 망갈리안은 절반인 1337kg에 불과하다. 탑재된 과학장비의 무게도 차이가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재미있게만 보였지만, 막상 실제로 생활하려니 어려운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우선
허공에 떠 있다 보니, 어느 쪽이 위쪽이고 어느 쪽이 아래인지 개념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더구나 우주선 내부의 모든 벽면에는 기계 장치가 붙어 있어서 도대체 어디가 바닥인지 구별조차 하기 어려웠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