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야구공의 표면에는 실밥이 있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회전할 때 공기
입자
와 마찰을 일으킨다. 공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공의 오른쪽 면은 공기와의 마찰이 거세져서 공기가 느리게 흘러가게 된다. 반면 공의 왼쪽 면은 회전하는 공이 공기를 끌어당겨서 오히려 공기의 흐름이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반사코팅은 이를 2% 이하로 낮춰져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최근에는 나노
입자
코팅 기술이 나와 빛이 반사되는 것을 0.2%까지 줄이면서 김이 서리는 것도 막을 수 있게 됐다. 오목렌즈 vs 볼록렌즈 vs 원주렌즈오목렌즈와 볼록렌즈는 근시와 원시를 교정할 때 쓴다. 두 렌즈 모두 상이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만들어 내는 거대한 자석이다! 지구의 자기장은 우주로부터 쏟아지는 전기를 띤
입자
들을 막아 줘서 지구의 대기와 생물들을 보호해 준다. 그런데 이런 지구 자기장이 자연 재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윤수 박사는 지난 2009년 11월, 기후 변화와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위험하진 않나요?나노물질은 워낙 작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해요. 5~10nm 크기의
입자
는 세포막을 뚫고 들어갈 수 있을 정도지요. 그렇게 혈관 속으로 침투한 나노물질은 우리 몸 어디든 갈 수 있어요. 이런 경우 우리 몸이 어떤 반응을 하는지는 아직 연구 중이에요. 또 물질이 나노크기로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선물을 전달하는 산타는 최소한 4차원 이상의 초공간을 이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질을
입자
덩어리가 아니라 아주 작은 진동하는 끈이라고 생각하는 물리학의 끈이론에서는 우리 세상을 제대로 설명하려면 4차원 정도가 아니라 11차원이 필요하다.심지어 모든 것을 설명해내려는 초끈이론은 2 ... ...
“빛이 있으라” 진공에서 튀어나온 빛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데 들어가는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전자나 양성자 같은
입자
도 물질화할 수 있다.이 연구는 암흑에너지를 설명하는 단서일지도 모르는 진공 요동과 같은 기본적인 물리 현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실험 결과는 ‘네이처’ 11월 16일자에 실렸다 ... ...
물리 -
입자
와 파동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미시 세계
입자
들은 일상적으로 만나는 물체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행동한다. 파동도 아니고, 그렇다고
입자
처럼 행동하지도 않는다. 지금까지 봐오던 그 어떤 것과도 닮은 점이 없는 이유! 이들의 행동을 지배하는 법칙이 다르기 때문이다.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도 이론상 불가능하기는 마찬가지예요. 극히 작은 확률로 상대성 이론을 무시해버리는
입자
가 존재할 가능성도 미시세계에는 있다는 말이죠. 제가 그걸 찾아낸 거고요.”“어쨌든 잘 됐군. 난 작년의 나한테 가서 할 말이 있어. 그 주식은 절대로 사지 말라고 말이지.”“저도 과거의 나를 만나서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낼 수 없다. 일일이 손으로 닦아 광택을 내야 한다. 알루미늄을 수μm크기의 알루미나(Al2O3)
입자
로 만든 용액을 솜에 묻혀 반복적으로 닦으면 겉에 붙어 있던 불순물이 벗겨지면서 고유의 황금색이 나타난다. 손 연구원이 이 일을 맡았다. “국새 표면을 한 번 닦는 데만 꼬박 이틀이 걸린다”며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입자
외에도 센서
입자
가 나트륨과 만나면 탈수를, 혈중 산소와 만나면 빈혈을 체크한다.
입자
들은 지름이 12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해 미세한 모세혈관 속도 거뜬하게 드나든다. 조명도 아이폰에 있는 LED면 충분하다.이 기술의 최대 장점은 당뇨병 환자들이 매번 혈당을 체크하려고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