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PC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가입해 개인 정보를 최대한 적게 노출하고 인터넷 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컴퓨터에
저장
해 두지 않는 습관도 개인 정보 노출을 막는 중요한 방법이다.온갖 보안장치를 해둔 집이라도 사용자 스스로 대문을 열어둔다면 도둑을 막을 순 없다. 복잡한 개인 정보 전쟁터에서도 방어의 핵심은 기본적인 ... ...
진화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민트패드’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민트패드는 메모를 한 뒤 별도의
저장
버튼을 누르지 않고 살짝 흔들기만 해도 메모를
저장
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뷰어로 ‘전자북’을 읽다가 민트패드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텍스트가 반대 방향으로 돌아 수평이 유지된다. 민트패드는 컴퓨터처럼 멀티태스킹도 지원해 음악을 들으면서 메모를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이 완벽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노실리카에 뚫린 구멍에 약품을 확산시켜
저장
하는데, 구멍마다 별다른 덮개가 없기 때문에 몸속에서 수송하는 동안 약품이 언제 새어 나올지 예상하기 어렵다.약품을 안쪽에 담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나노캡슐도 아직 상용화할 단계가 아니다. 정확히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운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가공기술이 필요한데, 그 해결책이 바로 굴비였다.굴비는
저장
하기 좋을 뿐만 아니라 맛 또한 뛰어나다. 통째로 구워 먹거나 갖은 양념을 발라 쪄 먹기도 하며, 매운탕이나 찌개로 끓여 먹어도 좋다. 통보리쌀에 마른 굴비를 층층이 묵혀 뒀다 고추장에 찍어 먹는 열성파도 ... ...
[화학]용액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값이 너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적절한 실험 방법을 찾아봅니다.6) 반투막을 통해
저장
액에서 고장액으로 용매가 이동하는 삼투현상의 사례를 제시하고 생리식염수의 삼투압이 혈액 삼투압과 다를 때의 문제점을 생각해 봅니다.예시답안1) b 몰/L 용액이 1000mL 있다고 가정하면 각 물질의 양은 다음과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만드는 과정이다. 즉 광합성에서는 빛에너지가 전기에너지를 거쳐 화학에너지로
저장
된다. 태양광발전은 광합성에서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단계까지에 해당한다. 많은 과학자들이 태양광발전의 효율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광합성의 효율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식물이 빛에너지를 ... ...
모바일게임 대작 영웅서기3의 인기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설명했다.캐릭터의 움직임이나 공격 방식을 표현하는 ‘스프라이트 툴’도 필요한
저장
용량을 크게 줄인다. 스프라이트 툴은 한정된 그림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해 다양한 동작을 표현하는 도구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달리거나 움직이는 모습, 전투장면을 각각 애니메이션 같은 동영상 파일로 ... ...
수소연료의 실용화 가능성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때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체수소
저장
방식은 기체나 액체
저장
방식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반면 에너지를 많이 소비한다는 단점이 있다. 3) 금속이 없는 상태에서 수소분자가 저절로 원자형태로 분해되지는 않는다. 일상에서 반응이 일어날 만큼의 충분한 에너지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뇌의 기억 용량: 요즘 출시되는 개인용 컴퓨터는 보통 5000억 바이트(500GB)의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도서관으로 알려진 미국 의회 도서관의 장서를 컴퓨터 데이터로 환산하면 약 32조 바이트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면 인간의 뇌의 기억 용량은 얼마나 될까? 인간의 뇌는 하나의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ISS에서 머무는 동안 KAMTEL은 1초에 20만~30만 장씩 촬영했다. 박 교수는 “촬영 데이터가
저장
된 2GB 메모리 카드 6개를 분석한 결과 고층대기 방전현상으로 추정되는 빛기둥을 여러 개 찾았고 방전현상이 전개되는 양상을 ms(밀리초, 1ms=10-3초) 단위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소연 박사의 도움으로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