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주 목요일엔 개미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동물의사소통실험실 조명동 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명동 연구원님은 도시화 정도에 따른 개미의 변화를 연구하고 있어요. 연구원님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질문 1연구원님은 왜 수많은 곤충 중 하필 개미를 연구하기 시작했어요?5~6월이 되면 왕개미의 결혼 비행으로 수많은 여왕개미가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슬아슬 서낭바위를 조각한 주인공은 파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썰물이라 발이 젖지 않고도 바위 주변을 거닐 수 있었지만, 밀물이면 서낭바위를 둘러쌀 정도로 바닷물이 깊숙이 들어오기도 하지요.파도의 세기는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아요. 우리나라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겨울에 파도가 높아져요. 물론 여름에도 태풍이 오면 높은 파도가 일지요. 파도가 강하면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동물에게 배운 지혜 사막개미를 닮은 로봇, 앤트봇!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했더니 무려 99.32%의 정확도로 도착했어요.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GPS의 성능을 뛰어 넘는 정도예요. 앤트봇은 단순한 구조와 기술로 만들었는데도 놀라운 성능을 가지고 있지요. 앤트봇은 GPS를 사용할 수 없는 재난 현장이나 우주 탐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거라고 해요 ... ...
- 내 이름은 파랑? 초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흰색과 검정, 빨강을 나타내는 단어만 사용한다. 산업화된 나라는 대개 언어에 10~12가지 정도의 색을 분류하는 단어를 가지고 있다. ‘진노랑’ ‘불그스름하다’ ‘푸르뎅뎅하다’와 같은 수많은 색채어가 떠오르겠지만 이는 파생 색채어로 기본 색분류에 포함되지 않는다.2009년 서울대 ... ...
- 애니메이션 제작일기 '유미의 세포들'을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럼 만드는 데 더 오래 걸리겠네?창의. 실제로 유미의 세포들에서도 드라마 촬영은 4달 정도 걸렸어. 반면 애니메이션 작업이 1년이나 걸렸다고! SCENE #3. 에필로그 창의세포와 사업세포, 스타세포는 프로덕션 상점을 빠져나온다. 마을 한편에는 작은 방이 줄이어 있다. 열려있는 방을 힐끔 보니 ... ...
- 넷플릭스가 안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오락기'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회전량, 회전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작품에서는 정확한 회전 정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했습니다. 아두이노 나노로 제어해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렸다가 다시 왼쪽으로 홱 돌아보는 식의 예측 불가능한 영희의 움직임을 만들어줍니다.다이나믹셀 AX-12A 모터를 아두이노 나노로 ... ...
- [숫자뉴스] 메뚜기 친구 풀무치 10번째 먹는 곤충 됐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비슷하게 생기고 덩치는 2배 정도 큰 곤충 ‘풀무치’가 먹을 수 있는 곤충으로 인정받았어요. 영양소가 풍부하고 먹어도 안전하다는 뜻이에요. 우리나라에는 먹을 수 있는 곤충, 즉 식용곤충이 총 10가지 있어요. 제일 먼저 메뚜기, 백강잠, 누에 유충과 번데기가 식용곤충이 됐고, 그다음 갈색 ... ...
- [특집] 마녀의 외침 “난 억울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1748년에 이탈리아어로 쓴 수학책에 소개했지. 내가 쓴 책은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될 정도로 인기 있었어. 그런데, 책을 번역하던 사람이 이탈리아어로 곡선을 뜻하는 ‘베르시에라(versiera)’를 마녀를 뜻하는 ‘아베르시에라(avversiera)’로 착각한 거야. 그렇게 ‘아녜시의 곡선’은 ‘아녜시의 ... ...
- [과학뉴스] 중성자별 충돌은 우주의 황금 광맥?!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원소 생성에 더 많이 기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 연구팀은 물체의 질량, 회전, 붕괴 정도 등의 변수가 포함된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충돌 시 평균적으로 생성되는 금을 비롯한 중금속의 양을 계산했다. 그 결과 중성자별끼리 충돌할 때가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충돌보다 2~100배 더 많은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명중시켰다. 1년 반 전 그들이 위치추적기를 달아 방생했던 곰의 무게는 이제 150kg를 넘길 정도로 성장해 있었다.시간이 지나 라슨은 잠든 곰을 확인하러 동굴로 향했다. 그리고, 커다란 눈과 마주쳤다. 곰은 깨어 있었다. 동행했던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사진작가 코레이 아놀드는 이 순간을 포착했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