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d라이브러리
"
정밀
"(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나노소재가 나노기술의 기반이 된다. 또 나노미터 단위의 초
정밀
·초미세 산업용 부품을 대량생산하는 나노공정장비가 필수적이다.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은 나노소재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업단장으로 선정된 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서상희 ... ...
작물 생산성 높여주는 이산화탄소 센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연구실에서 개발한 센서를 사용해 사람의 피속에 녹아있는 알코올의 양을 세계 최고의
정밀
도로 측정하는 제품을 내놓았는데, 전세계 13개국에 수출되고 있다.실용성이 돋보이는 높은 기술 수준을 자랑하는고체소자 연구실에서는 현재 박종욱 교수를 중심으로 박사과정생 9명과 석사과정생 2명이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국가간 또는 지역간의 교역범위를 짐작할 수 있다. 나아가 톱과 대패, 자귀 등의 흔적을
정밀
분석하면 당시의 과학기술까지도 짐작할 수 있다. 이렇듯 역사의 흔적을 밝혀줄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물창고가 바로 목재인 것이다.무령왕릉에서 나온 관재는 매우 오래돼, 옻칠이 된 밑나무는 조금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맞먹었다. 이는 히딩크 감독이 이끄는 한국팀이 ‘뻥축구’라는 오명을 벗고
정밀
한 경기를 펼쳤다는 증거다.대표팀 변화의 원동력은 히딩크 감독이 가장 중시한 체력이다. 대표팀의 체력은 파워프로그램을 통해 업그레이드됐다. 특히 20m 왕복달리기인 ‘셔틀 런 테스트’가 효과 만점이었다. 1982년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본적인 단순성에 도달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이런 분석방법은 ‘생명이란
정밀
한 시계장치처럼 잘 짜여진 기계’라고 주장한 데카르트에 와서 정교한 형태로 다듬어졌다. 서구의 환원주의적 분석이 밝힌 생명에 관한 최초의 결과는 생명이란 ‘복잡한 물리장치’(complicated physics)에 불과하다는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바탕으로 다양한 통계방법을 동원한다. 또 미약한 신호도 놓치지 않고 측정하기 위해
정밀
계측기술도 적용되고 있다.혈액 속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이 있다. 적혈구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해 동맥을 통해 산소를 온몸의 구석구석까지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동맥에서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실험환경 탓으로 밝혀졌다.2001년에는 미국과 캐나다의 6개 연구팀이 재배포장에서
정밀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악영향이 없음이 밝혀졌고 이들 결과가 네이처에 보고됐다. 연구자들은 GM옥수수 꽃가루에서의 독소유전자 발현이 매우 약하고, 4천개 정도의 꽃가루를 먹기 전에는 악영향이 나타나지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말했다.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전문가들은 “종이와 화학약품에 대한 좀더
정밀
한 수사를 해야 명쾌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면서 일단 요오드-녹말 반응을 일으킨 수법으로 추정하고 있다. 녹말이 요오드에 반응을 일으켜 청남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초등학교 때 레몬즙으로 했던 실험을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약 1㎛(${10}^{-6}$m) 정도 박막의 미세한 무게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약 1ng(10억분의 1g)
정밀
도로 무게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수준 이다. 미세 수정 저울은 이온의 이동에 의해 일어나는 고분자 박막의 무게 변화까지 측정할 수 있다. 즉 이온들의 고분자로 이동하는 상황을 측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유전자 변형 작물을 GM 작물이라고 부른다. GM 작물은 인류에게 불어닥칠 식량난을 해결하고 환경친화적 농법을 실현시키기 위해 개발중이다. ... 시대가 전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르는 환경과 식품 안전성 문제를 해결한
정밀
한 기술 개발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할 것이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