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결방법"(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란 말을 자주 접하게 됐다. 컴퓨터·IT 분야에서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의료, 환경, 서비스 등 이제는 모두가 소프트웨어를 이야기한다. 곧 학교에서도 SW교육이 시작된다. 그런데 왠지 어려운 프로그래밍 언어만 잔뜩 배울 것 같다고? 그건 아직 소프트웨어에 대해 잘 몰라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서양 학문을 천 년 넘게 지배한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물체에게는 저마다 ‘자연스러운’ 위치가 있고, 방해만 받지 않는다면 모든 물체는 자신의 자연스러운 위치를 향해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오늘날 우리는 이설명이 과학적이지 않다는 것을 안다. 땅바닥이 ‘왜’ 사과의 자연스러운 위치인 ... ...
- [Life & Tech] 트랜스포머 엘리베이터가 온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미국의 발명가 엘리샤 오티스가 1854년 엘리베이터를 개발한 지 160년이 지났다. 빌딩과 아파트가 높아지는 만큼 엘리베이터도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속도만으로는 편리함에 한계가 있다. 일상을 바꿀 엘리베이터 혁명은 ‘새로운 아이디어’에서 탄생하고 있다. 지하철 한 통로에 여러 대, 멀티 ... ...
- [생활] 냉장고를 부탁해 수학의 눈으로 본 요리 대결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바야흐로 ‘먹방’의 시대가 가고 ‘쿡방’의 시대가 찾아왔다. 소문난 식당에 찾아가 맛있는 음식을 먹는 모습은 이제 식상하다. 집에 있는 냉장고를 그대로 가져와 그 안에 있는 재료로 셰프들이 요리를 선보이며 대결을 펼친다. 최근 가파르게 상승세를 타고 있는 화제의 요리 토크쇼 JTBC ‘냉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된다. 교과서, 문제집, 참고서, 기출문제까지 모두 정복했는데도 성적이 반짝 오르나 싶더니 방심한 사이 다시 제자리다. 수학에 대한 성취감은 여전히 찾기 힘들고, 수학을 잘 해야만 할 것 같은데 도무지 방법을 모르겠다. 이대로는 안 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뭔가 대책 마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남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이 승리하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사람이 있다. 무기를 들고 싸운 용맹한 전사가 아니다. 바로 영국의 천재 수학자 앨런 튜링이다. 그는 24시간마다 바뀌는 난공불락의 독일군 암호를 풀어 전쟁의 역사를 바꿔 놓았다. 그의 대표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0“더 큰 키와 체격, 더 강력해진 힘으로 돌아왔습니다.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이 될 것이라고 자부합니다.” 새로 완성된 재난로봇 ‘휴보’를 설명하는 연구원들의 자부심은 대단했다.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가 공개한 이 로봇의 공식 이름은 ‘DRC휴보II’(DRC휴보2). 2013년 12월 미국 ... ...
- Epilogue. “북한 악성코드는 사이코패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잉카인터넷 실시간 대응센터의 전경. 맨 앞 화면에는 월별, 주별 감염 PC숫자와 방금 접수된 내용이 표시된다.기자가 찾은 아침 시간은 실시간 대응센터가 가 장 바쁜 시간이었다. 직원들은 커피 한 잔 나눌 시 간도 없이, 출근하자마자 전날 밤 접수된 신고내용을 꼼꼼히 살피고 있었다. 새로운 신고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955년 4월, 저명한 과학사학자 I. 버나드 코엔이 아인슈타인을 찾아가 인터뷰를 했다. 그로부터 2주 뒤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그 인터뷰는 아인슈타인의 생각을 마지막으로 읽을 수 있는 기회였다. 코엔은 벤저민 프랭클린과 아이작 뉴턴에 대한 방대하고 엄격한 연구로 정평이 나 있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어린 시절 누구나 흰 종이에 빽빽하게 계산 문제를 푼 경험이 있을 것이다. 버튼 몇 개만 누르면 결과가 나오는 계산기가 있는데 이게 무슨 소용인지 싶다. 계산기만 있으면 어떤 수학 문제도 거뜬할 거 같다.수학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계산기는 도우미일뿐, 수학은 인간만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