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표현
표지
조짐
제시
표명
암시
뉴스
"
표시
"(으)로 총 1,397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보는 건강신호 12가지...“○○○나타나면 고혈압 의심”
동아닷컴
l
2015.04.21
눈꺼풀이 축 처져 있다는 것이다. 처진 눈꺼풀은 근육이나 신경에 문제가 있다는
표시
일 수 있으므로 전문가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게 좋다. 사진=동아DB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 ...
포장 뜯지 않고 김치 숙성상태 판별… 농부대신 김매는 ‘제초로봇’도 개발
동아일보
l
2015.04.09
색이 달라진다. 포장을 뜯지 않고도 제품 품질을 판단하게 해주는 것이다. 스마트
표시
장치는 ‘지능형 포장기술’의 대표적 사례로 이승주 동국대 교수(식품생명공학과)가 이끄는 지능형포장연구센터에서 개발했다. 지능형 포장은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등 첨단기술이 합친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사이에서는 한반도 6년 가뭄설이 농담처럼 돌고 있었다. 한반도에 큰 가뭄이 드는 때를
표시
해보니 대략 6년에 한 번 꼴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가뭄의 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다. 장마가 찾아오기 직전에 나오던 가뭄 뉴스가 이제는 겨울이나 봄에도 나온다. 이렇게 가뭄이 계속되면 토양이 ... ...
55cm 물체도 식별…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3개의 초대형 멀티비전 우측 상단에 또렷한 글자로 ‘In contact(연결 중)’라는 메시지가
표시
됐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은 곧 의자에서 일어나 함박웃음을 지으며 주위 사람들과 악수를 나눴다. 우리나라 5번째 실용 인공위성 ‘다목적실용위성3A호(아리랑3A호)’의 발사 성공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마치고 거대한 ‘소나무 공동묘지’로 변해있었다. 흰 표식은 예방주사를 놓은 나무라는
표시
다. 송진이 많으면 약제가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예방주사는 송진이 적은 겨울에만 놓을 수 있다. - 우아영 기자 제공 으스스했다. 훤한 대낮인데도. 3월 13일 찾은 경남 김해 대동면의 한 야산은 녹색 ... ...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영리하게 거짓말을 하려면 이런 특징을 없애야만 한다. 실제와 상관없이 거짓말의
표시
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기 때문이다. 1. 한참을 기다리거나 ‘음-’ 소리를 낸 후 대답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거짓말의 진짜 단서다. 2. 상단 구석 쪽을 응시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이를 거짓말의 증거로 ... ...
해부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
2015.03.22
뒤 우리은하를 넘어 안드로메다은하 등의 별빛까지 포착했다. 한편 적경과 적위로
표시
한 천구상의 좌표 정보와 시상과 투명도 등 하늘의 환경, 또 카메라와 노출 시간 등의 상세한 설명도 함께 실어 별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섞은 상태라고 볼 수 있으므로 유화제 없이는 1년 정도의 유통기한을 버틸 수 없다. 성분
표시
란을 보면 ‘유화제’가 없는 제품을 찾기가 쉽지 않은 이유다. 물론 유화제는 합법적인 식품첨가물로 달걀에서 추출한 레시틴 같은 천연분자도 있고 사람들이 합성한 분자도 있다. 유화제 대부분은 ... ...
알츠하이머성 치매, 20대부터 시작
2015.03.02
자기공명영상(MRI). 붉은 점으로
표시
된 부분이 전뇌기저부다. - 위키미디어 제공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20대 때부터 서서히 시작된다는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왔다. 챈지즈 구엘라 노스웨스턴의대 인지신경및알츠하이머병센터 교수팀은 20대 청년을 비롯한 젊은 성인의 뇌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유발 ... ...
3500년 전 보드게임과 수학의 역사
2015.03.01
세로, 대각선으로 같은
표시
가 이어져 나오게 만들면 이기는 게임이다. 빈 칸에 하나씩
표시
할 때마다 쓸 수 있는 칸의 수가 줄어드는데, ‘경우의 수’라는 수학개념을 적용해서 게임을 할 수 있는 가짓수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할 수 있어 ‘수학적인’ 게임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