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면"(으)로 총 1,4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물인터넷 시대 준비 완료, 차세대 플랫폼 개발됐다2015.06.10
- 기존 컴퓨터 프로그램처럼 독자적으로 실행할 수 있고, 웹 기반 앱처럼 웹 기술을 사용해 화면 구성과 데이터 처리를 공유하며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기술이다. ETRI는이 기술을 ‘하이브리드 앱’이라는 새로운 분류로 구분하고 ‘하이웨이(HyWAI)’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플랫폼은 각종 컴퓨터나 ...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타이타닉호에서 생존률 가장 높은 위치는?”2015.06.08
- 기자가 속한 조의 전문가인 마테로 리니 ‘피직스(Physics)’ 편집장은 구글 검색 화면을 이리저리 활용해 진짜 논문의 수를 알아내려 했지만 쉽게 정답을 찾지 못했다. 국가안보국을 표기하는 방식이 ‘NSA’ ‘National Security Agency’ 등으로 달랐기 때문이다. 강연을 진행한 존 보해넌은 “답을 ... ...
- 60m 떨어진 CCTV가 당신을 보고 있다2015.06.03
- 적외선 카메라로 움직이는 인체를 인식하면 줌인해서 촬영하는 방식이다. 특히 화면 안에 여러 사람이 있어도 줌인 카메라가 빠르게 움직이면서 분당 최대 30명까지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람이 고개를 돌리고 있어도 얼굴 정면이 보일 때까지 추적하며 촬영하도록 설계돼 ... ...
- 메르스 환자수 3차 감염자 포함 25명 ‘총 2명 사망’...대재앙 공포 확산동아닷컴 l2015.06.02
- 설명했다. 환자수 3차 감염자 포함 25명. 사진=환자수 3차 감염자 포함 25명/캡쳐화면, 동아DB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gn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비상 - 주미 中대사 ...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05.29
- 내스 교수가 1996년 발표한 책 ‘미디어 방정식’에 따르면, 우리가 작은 화면보단 큰 화면에서, 정적인 물체보단 움직이는 물체에서 더 실재감을 느끼는 것도 모두 진화의 결과다. 더 크거나 더 빨리 움직이는 물체는 인간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나도 모르게 뇌가 강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5.29
- 동그란 물체가 나타났다. 의자에 기대어 있던 박진영 연구원이 순간 등을 곧게 세웠다. 화면을 이리저리 돌려본 그는 “지름이 50cm 정도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정용화 학예연구사가 가까이 다가가 살폈다. “묻혔던 자국인가…. 아! 여기 솥뚜껑 손잡이가 보이네요. 저희가 1년 전에 묻어 둔 철제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디스플레이 기술 변화가 가져온 풍경2015.05.25
- 것은 자명하다. 두루마리 하나를 들고 가서 벽에 걸어 펼치면, 그 자리에서 150인치 대화면이 생기는 세상이라도 열리지 않을까. 물론 현재 기술 수준에서 상상해 본 이런 빈약한 예측은 여지없이 깨질 확률이 높다. 기술이 산업과 만나서 만들어 내는 새로운 사회를 100% 예측하는 건 어려운 일이니 ... ...
- 모바일 사용량 세계 순위 공개, 대한민국은?동아닷컴 l2015.05.18
- 나타났다. 캐시슬라이드는 NBT파트너스의 모바일 잠금화면 플랫폼으로, 스마트폰 첫 화면에 자동으로 뜨는 광고를 보면 적립금을 주는 앱을 말한다. 앱 체류 시간은 카카오톡이 가장 길었고 페이스북이 2위, 다음이 3위를 차지했다. 커뮤니케이션·소셜 관련 앱이 모바일 생활의 중심을 차지하는 ... ...
- 돌연사 ‘전공’ 개복치, 알고보니 특급 포식자?2015.05.17
- 순식간에 먹어치우는 게임 속 개복치 - 미국 해양기상청(NOAA)/ 게임 '살아남아라! 개복치' 화면 캡처 제공 인기 모바일 게임 ‘살아남아라! 개복치’에서 잦은 돌연사로 연약한 모습만 보여줬던 ‘붉은개복치’가 인간이나 포유류처럼 따듯한 피를 가진 항온동물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통상 ... ...
- 태블릿PC 위에 손가락만 갖다 대면 로봇이 스르륵2015.05.12
- 방법을 고안했다. 로봇이 이동했으면 하는 방향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화면에 손가락을 대면 로봇들이 그 명령에 따라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가까이에 있던 로봇이 그 지역의 상황을 주변 로봇에게도 통신해 그 지역으로 로봇들을 모이게 된다. 연구팀은 한 지역 뿐 아니라 다수의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