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5,138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03
사실이 밝혀져 광합성의 기원을 찾을 수 있게 됐다. 미국 럿거스대 해양해안과학
연구소
의 다나 프라이스 박사와 성균관대 생명과학부 윤환수 교수가 참여한 국제연구팀은 회조류(시아노박테리아와 유사한 엽록체로 광합성을 하는 조류, Cyanophora paradoxa)와 홍조류, 녹조류 등 조류와 육상식물을 ... ...
사람의 스토리로 공감대 만들자
과학동아
l
201203
유명 로켓 공학자를 인터뷰한 기사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시스템
연구소
장을 인터뷰했습니다.Do!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에 대한 참여 열의가 뜨겁습니다. 과학에 대한 여러분들의 관심과 기사 쓰기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홈페이지에 접속해 다른 친구들이 ... ...
한국항공우주
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203
항공우주시스템
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는 이상률입니다. 항공공학 공부를 했고
연구소
에는 26년째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인공위성이 아닌 발사체 분야에서 일하다가 박사학위 취득을 위해 프랑스로 파견됐고 (…중략…).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89년에 설립돼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03
좌표평면의 힘을 새삼스레 느낄 수 있었다.수학과 과학이 만나는 곳, 국가수리과학
연구소
임주백 박사(가상생태계연구팀) "동물 실험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까닭은 바로 ‘관찰은 주관적이지만 수학은 객관적’이기 때문이에요.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자연현상을 보더라도 관찰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02
실렸는데 둘의 입장차이가 너무 커서 어리둥절할 정도다. 스페인 안달루시아 천체물리학
연구소
크리스티나 퇴네 박사가 주축이 된 국제 공동연구팀(서울대 임명신 교수팀도 포함됨)은 덜 파격적인 해석을 내놓았다.즉 중성자별이 거성 옆을 지나다 나선 궤도로 접근해 결국은 합쳐지면서 블랙홀로 ... ...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02
지난해 12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1초에 무려 1조 프레임을 찍을 수 있다는 초고속 카메라, 펨토 포토그래피다. 1초에 수만 프레임이면 날아가는 총알을 찍을 수 있는데, 이 카메라는 날아가는 빛까지 찍을 수 있다.펨토 포토그래피는 티타늄-사파이어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02
연료만 토륨으로 바꾼 방식도 있다.미국 에너지국은 오크리지국립
연구소
등 산하
연구소
와 함께 냉각재로 용융염을 사용하고 연료는 토륨을 사용하는 용융염원자로 개발에 한창이다. 중국은 이 방식을 개선한 ‘액체불소화토륨 원전’ 연구에 뛰어들었다. IAEA에 따르면 중국은 작년 1월 세계 최대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202
근거가 되는 것이 바로 미래에 대한 수문학 전망 자료다.“2009년 12월, 전국 9개 대학과
연구소
4곳 등 13개 기관을 모아 정부 지원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 영향분석과 전망 연구단’을 꾸렸습니다.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수자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전망할 수 있는 국가 표준 시나리오를 만들기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02
마우스 없이 손동작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키모트’를 개발했다. 대학이나
연구소
에서도 저렴하면서 성능이 좋은 게임기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이런 활용 사례가 많아지자 마이크로소프트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나섰다. 2011년 6월에는 키넥트용 개발 키트를 공개해 자유롭게 키넥트 ... ...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
과학동아
l
201202
폭발로 배출됐던 물질의 종류와 양이 미국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기 때문이다.미국 카네기
연구소
와 메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시베리아 트랩’으로 불리는 거대 화산이 폭발할 당시 현무암 표본을 조사한 결과를 지구행성과학통신에 발표했다. 심각한 기후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황과 염소,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