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150억년 우주 역사 한눈에과학동아 l199504
- 오래 될수록 타원은하와 나선은하의 형태가 비슷해진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다 .④ 가장 오른쪽 사진/현재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은하들의 모습. 현재 나이의 1/10에 해당한다. 사진에서 보듯이 당시에는 나선은하와 타원은하의 구별이 아주 모호하다. 그러나 이때의 타원은하는 현재 관측되는 ...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과학동아 l199503
- 이동하는 북반구의 무역풍은 지구의 자전 영향으로 생기는 움직이는 물체를 운동 방향의 오른쪽으로 전향시키는 전향력(코리올리힘)의 영향으로 점차 북풍에서 북동풍으로 바뀌게 된다. 반면에 남쪽에서 북쪽으로 수렴하는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는 반대로 전향력이 움직이는 물체를 왼쪽으로 ...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과학동아 l199503
- 원래 나선은하였으며, 충돌 이후 차차 본래의 모습을 되찾고 있다. 그러나 큰 화면 오른쪽에 보이는 두 개의 왜소은하 가운데 과연 어떤 은하가 침입자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을 내릴 수 없다. 푸른 왜소운하는 얼마간 형태가 변형되었지만, 노란색 은하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후자는 ...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과학동아 l199502
- 감아 올라 간다. 나팔꽃의 덩굴은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많은 고둥(소라 우렁이 등)은 오른쪽으로 감는다. 많은 녹색생물들은 편모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진행한다. 인간의 뇌는 외견상 좌우뇌가 같지만, 그 기능은 전혀 다르다.유전자 DNA는 거의 우측 나선형(알파나선)이다. 단백질도 또한 우측 ... ...
- 공룡 탐험과학동아 l199502
- 알 수 있는 이 장은 화면 왼쪽에 위치한 지구본을 마우스 조작으로 회전시키고 아래 오른쪽의 시간 단추를 조작해 해당 지역의 그 당시 공룡식생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장에 제공되는 텍스트는 프린트도 가능하다.그리고 다섯번째 장에는 가장 대중적인 8개의 공룡 모형 사진을 섬네일 ... ...
- 1 노화유전자 프로그램설 유력과학동아 l199502
- 베르너 증후군, 프로게리아, 랙스 커티스 등이 있는데 각기 조금씩 다른 특징을 지닌다.오른쪽 위 사진은 프로게리아에 걸린 남아공의 16세 소년 프란지 게링거다. 그는 자신의 81세된 할머니와 함께 정부가 주는 노인연금을 받고 있다.프란지는 이미 돌 때 머리가 빠지고 주름살이 생기기 시작했다. ... ...
-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과학동아 l199502
- 데 최소의 시간이 걸린다면 (2)의 자리에 도착하는 데 C4개를 통과해야 하므로 B의 오른쪽 끝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4단위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최소 단위의 2시간=4단위의 시간이 돼 모순이다.크세논의 파라독스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발이 빠른 아킬레스는 거북을 뒤쫓아가 잡을 수 없다 ... ...
- 광공해 없는 겨울 은하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501
- 직사각형 왼쪽 위의 꼭지점이 거인의 오른쪽 어깨에 해당하는 베텔규스(Betelgeuse)이며, 오른쪽 아래 꼭지점은 거인의 왼쪽 발목인 리겔(Rigel)이다. 사냥꾼의 허리띠에 해당하는 삼태성의 세번째 별인 델타별 (δOri) 위로는 하늘의 적도가 지나가기 때문에 이 별자리는 사람이 사는 곳이면 어디서나 볼 ...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과학동아 l199412
- 상태에서 분다(그림 6).이때 북반구에서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쪽으로 등압선에 대해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채로 불게 되는데, 지표면의 영향이 클수록 그 각은 커서 육상에서는 20-35˚, 해상에서는 15-20˚가 된다.일기예보를 하기 시작한 지 1백 5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우리는 아직 정확한 ... ...
- 컴퓨터 프랙탈 그림특강과학동아 l199411
- lim ${W}^{n}$(A))은 시어핀스키 삼각형으로 변환됨을 볼 수 있다. (그림7)의 왼쪽은 W(A)이고 오른쪽은 ${W}^{2}$(A) 이다. (그림8)은 n의 값이 4,5,6으로 변화할때 ${W}^{n}$(A)의 모습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미술의 기법중에 색종이를 찢어서 그림을 만드는 콜라주라는 것이 있다. 이제 시어핀스키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