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군의관 로널드 로스예요. 모기가 말라리아 환자를 물면 모기 속으로 열원충이 옮겨가지 않을까요? 인도에서 일하던 로널드 로스는 일부러 말라리아 환자들의 병실에 모기를 풀어놓기도 했어요. 하도 말라리아에만 정신을 팔자, 불만을 품은 상관들이 그를 말라리아가 없는 지역으로 보낼 정도였죠 ... ...
- [특집] 생물막,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움직일 수 있는 이동형과 편모가 없어져 단단한 표면에 붙을 수 있는 부착형, 이 두 가지 모습을 왔다 갔다 해요. 헤엄치던 이동형 세균이 단단한 표면 가까이 다가가 달라붙으면 부착형으로 변해요. 이후 생물막의 구성 물질인 세포외 다당류를 분비하면서 생물막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죠.이렇게 ... ...
- [특집] 생물막, 제거하라! vs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만들면 항생제로도 제거가 어려워져 병이 심각해지죠.생물막을 없애려면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쓸 수 있어요. 문지르거나 닦는 물리적인 힘으로 생물막을 파괴하거나, 화학 물질을 사용해서 생물막을 이루는 성분을 파괴하는 것이지요. 이런 방법들은 지금도 일상에서 흔히 쓰여요.그런데 2019년, 미국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거짓말을 잘 하더라고요. 이 영상은 색을 통한 여러 가지 착시들을 모아 소개합니다. 몇 가지 착시들은 보면서도 믿을 수가 없어서 제가 직접 실험을 해 보기도 했는데요, 진짜 착시가 맞더라고요. 너무 신기해서 편집장님께도 이 영상을 보여드렸는데, 영상을 보신 편집장님께서 하신 말씀의 첫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띠는 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색전하’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그저 그 종류가 세 가지이기 때문이에요. 빛이 빨강색과 초록색, 파란색, 즉 삼원색으로 이뤄진 데 착안해 ‘색전하’라는 이름을 만들고 그 종류에 ‘빨강’, ‘초록’, ‘파랑’이란 이름을 붙인 거예요. 이처럼 헷갈리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가시광선, 항생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파장이 길고, 보라색일수록 파장이 짧지요. 뉴턴은 실험을 통해 가시광선의 색을 일곱 가지 빛깔로 나누었답니다. 항생제(抗生劑) 식중독이나 폐렴, 파상풍 등 나쁜 세균이 몸에 들어오면 질병이 생겨요.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항생제를 처방받지요. 항생제는 미생물이 다른 미생물의 ... ...
- [BOOK 소리] 용감한 어린이만 도전하라! 데블X의 수상한 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책이 되기엔 진짜 나쁜 책들의 비웃음을 살 정도로 아직 부족하기만 하다며, 독자에게 한 가지 제안을 한다. “내가 아는 등골이 오싹해지는 이야기와 골치 아픈 수수께끼들을 시험해 볼 용감한 독자가 되어 달라”고. 그리곤 “만약 내가 들려주는 수수께끼들을 풀지 못한다면 지하감옥에 갇히게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1000배 빠른 로봇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높이기 위해 로봇 과학자는 8일 동안 172시간 일하며, 6500여 번 기기를 조작하고 총 688가지의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인간 연구자의 도움 없이 수소를 만드는 능력이 기존보다 6배 효율이 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요.쿠퍼 교수는 “앞으로 로봇 과학자가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화학반응을 ... ...
- Let’s dance 인공지능, 안무가로 화려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앞에서 춘 256분 분량의 자유 안무 녹화영상을 학습했어요. 이때 무용수의 동작을 4가지로 나눠 인식했지요. 부드럽거나 강한지, 혹은 빠르거나 느린지 무용수의 동작을 학습한 ‘마디’는 10분짜리 안무를 100여 개 만들었어요. 신창호 안무가가 그중 8개를 간추리고 수정해 공연에 선보였습니다 ... ...
- [가상인터뷰] 달, 45억 살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바다에서 분리됐다는 ‘분리설’, 가상의 행성과 부딪쳐 생겼다는 ‘충돌설’ 등 4가지 가설이 있어. 그중 가장 유력한 가설은 ‘충돌설’이야. 충돌설은 약 45억 년 전 초기 지구가 화성 크기의 행성 ‘테이아’와 충돌하며 생긴 물질들이 모여 달이 태어났다는 가설이야. 이로 인해 달은 깊이 100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