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35년 만에 다시 나타난 흰수마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주변엔 대규모의 축산농가와 산업단지가 있거든요. 미호교 공사도 진행 중이고, 가까운
곳
에 산업단지가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지요.방인철 교수는 “생물 종은 존재 자체만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개발을 위해 생물들의 서식지를 파괴하면 안 된다”고 말했어요. 성무성 연구원은 “생물은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흑산도 해역의 플랑크톤 종을 분류했다. 정약전이 살펴볼 수 없었던 바닷속 깊은
곳
의 해양생물도 수중촬영과 저층 트롤어구 조사로 세상에 드러났다. 정약전이 그랬던 것처럼 흑산도 어민의 목소리를 듣는 것도 잊지 않았다.이렇게 발견한 해양생물들을 자산어보에 수록된 생물상과 비교한 결과,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정식 보고서를 내는 일도 숙제다. 국내 구석기 유적 가운데 가장 과학적으로 연구된
곳
이지만 여전히 자료가 불완전하다는 판단에서다. 논란이 되는 연대 문제도 정리하고 싶다고 밝혔다.그는 인터뷰 내내, 자신의 학문 이력에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고 몇 번이고 말했다. 아시아만 해도 공부해야 할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차가운 도로 위에 식어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하루에 두세 번만 찾아가 새끼 고라니에게 젖을 먹이고 나머지 시간에는 멀지 않은
곳
에서 생활하며 새끼를 지킨다.이런 독특한 육아방식 때문에 사람들은 풀숲에 혼자 있는 새끼 고라니를 발견하고 어미를 잃었다 착각한다. 안타까운 마음에 직접 데려오는 경우도 허다한데, 이로 인해 새끼는 ... ...
[이슈] 별별자전거로 떠나는 세계여행, 자전거랜드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어떤 맵으로 모험을 떠날지 결정했나요? 험난하지만 아름다운 페루의 마추픽추, 도시
곳곳
을 달릴 수 있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절경 속에서 눈을 즐길 수 있는 알래스카 앵커리지 그리고 햇빛이 내리쬐는 평화로운 우리나라 제주 올레길까지! 특별한 자전거 여행을 선택했다면 이제 게임을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특히 고도 약 3만 6000km에 있는 인공위성은 지구의 공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움직여 한
곳
만 집중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요. 이런 위성을 정지궤도위성이라고 부른답니다. 오늘은 인공위성의 높이와 속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한 번 발사한 인공위성은 수명이 다해도 다시 수거할 수 없어 우주 ... ...
[한페이지 뉴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국내 첫 접종 시작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9) 예방접종을 시작하기로 같은 달 15일 결정했다. 대상은 전국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5873
곳
의 입소자와 종사자 중 만 65세 미만인 27만 2131명이다. 당초 계획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내 만 65세 이상 고령층(37만 6724명)에 우선 접종할 예정이었으나 고령층에 대한 접종은 미루기로 했다. 해당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환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며 “기존 탐사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곳
에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bf396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우리는 그 모습을 현장에서 직접 살펴보고자 이미 많은 변화가 일어난 부빙이 있는 이
곳
을 탐험 경로로 선택했다. 북극에서 직접 본 부빙의 상태는 더 심각했다. 여름이 막 끝난 뒤긴 했지만 두께가 고작 30cm에 불과했다(편집자 주: 북극 해빙의 평균 두께는 2~3m). 얇아졌을 거라 예측은 했어도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말 발표한 논문입니다. 등교 재개 기간 동안 소아·청소년의 코로나19 확산이 가장 적은
곳
이 학교였다는 분석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정 청장은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연구팀과 함께 국내 초·중·고 등교가 재개됐던 지난해 5월 1일부터 7월 12일까지 3~18세 소아·청소년 코로나19 환자 127명의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