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d라이브러리
"
공개
"(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 해 5월 1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
했다.‘켈빈-헬름홀츠파’라고 불리는 이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카보시는 NASA의 관측위성인 에이스(ACE)와 테미스(THEMIS)를 이용했다. 에이스 위성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어 지구 자기권에 닿지 않은 태양풍을 ... ...
페이스북 얼굴인식 기술, 유럽선 “허용 못 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지난 6월 얼굴인식 기능을 활용한 사진공유 애플리케이션인 ‘모멘츠(사진)’를
공개
했다. 모멘츠는 사진을 업로드하면 등장인물의 얼굴을 인식해 그들끼리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특별히 사생활보호 수준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됐다. 그러나 유럽은 얼굴인식이 개인 정보를 침해할 수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앞 다투어 빅데이터 전문가를 고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구단마다
공개
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고유한 데이터 활용법을 개발하고 있다. 앞으로의 야구 성적은 데이터를 누가 얼마나 잘 다루느냐에 달려 있을지도 모른다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핵생성을 택하고 동료 로버트 허먼과 공동연구에 들어갔다.1948년 4월 앨퍼의 학위논문
공개
심사에는 이례적으로 기자들을 포함해 청중 300여 명이 모여들었다. 그런데 가모프는 납득하기 힘든 일을 저질렀다. 심사를 하기도 전에 미국물리학회 회보에 앨퍼의 동의를 얻지 않고 논문을 투고해 버린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랄프’가 수집한 데이터를 더해 색을 칠했다. NASA는 14일 홈페이지를 통해 이 사진을
공개
하면서 “명왕성 표면에는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있다”고 소개했다(밝게 빛나는 부분). 확대된 부분은 명왕성 적도 부근의 상세 사진이다. 얼음으로 뒤덮인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5월 말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공개
됐다. 그리스의 한 연구팀이 실제 여성의 다리로 고대 이집트의 미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것. 연구팀은 고대 이집트의 전통 방식대로 시신의 다리 조직을 소금 용액에 넣어 미라로 만들면서, 그 과정을 당시에는 없었던 최첨단 현미경과 영상 기술로 세세히 ... ...
RCS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폭로 전문 웹사이트 ‘위키리크스’가 해킹팀과 각국 정부가 주고받은 거래 자료를
공개
하면서 드러났다. 자료에는 국내에서 출시된 스마트폰과 특정 모바일 메신저의 해킹방법을 묻는 e메일도 포함돼 있어 국정원이 일반 국민을 사찰하려고 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RCS는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기획됐습니다.” 이 동영상 강의는 오는 9월부터 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 ‘케이무크(K-MOOC)’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이 교수의 전국민 아인슈타인 만들기 프로젝트는 이렇게 계속된다 ... ...
거대 마젤란망원경, 설계 끝 건설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0배나 선명한 영상을 얻어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6월 3일 GMT의 최종 설계 이미지를
공개
하면서 2024년 정상 가동을 목표로 건설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GMT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카네기 연구소의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 부지에 22층 높이로 건설된다. 완성된 GMT는 구경이 25.4m로 138억 년 전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2012년 영국에서 최고 수준의 단일전자 펌프를 만들었는데, 우리나라 표준연이 올해 2월
공개
한 이 펌프도 성능이 같은 수준이다. 배명호, 김남 연구원은 “전자는 양자역학에 따라 희한하게 움직이는데 높게 쌓은 장벽을 뚫고 나갈 때도 있다”며 “이걸 막기 위해 4 K(영하 269 ℃)의 초저온에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