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량
다수
풍부
d라이브러리
"
대량
"(으)로 총 1,6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의구심을 갖고 탐구를 계속해나가는 것이라면 화학공학은 일단 그 원리를 받아들인 위에
대량
생산을 위한 공정이나 효율적인 시설운영에 더 큰 목적을 두는 것이다.세계최초로 실을 뽑지 않고 제조하는 섬유, '아라미드펄프'를 개발해낸 KIST 윤한식 박사(섬유 고분자연구실)는 자신의 연구과정을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아라미드섬유는 개발 후 1년만에 (주)코오롱에 넘겨졌다. 코오롱측은 시험공장(pilot plant,
대량
생산 전단계) 생산을 거쳐 연간 5백t 규모의 실공장 설계를 완성해 놓았다. 그러나 아라미드 섬유 연료를 공급하는 네덜란드 악소사에서 듀폰측과의 관계 때문에 우리에게 연료공급이 불가능해지면서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화학적으로 규명하여 실험실에서 합성하고 대장균에 삽입한 후 이러한 성장호르몬을
대량
생산하여 어류에 급식이나 주사로 투여, 성장을 촉진하는 연구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찬반 양론 비등한 유전자 조작기술유전자조작은 그 응용범위가 하등동물에서부터 고등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 ...
3. 하반기 판매경쟁 치열할 듯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실제 C일보 S신문 등에서는 CTS(컴퓨터신문제작시스템)추진과 아울러 노트북컴퓨터의
대량
구매를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현재 노트북의 가격은 AT급이 2백만~2백60만원선(부가세 별도) 386SX급이 2백80만~3백50만원선이다. 데스크톱 모델과 비교하면 아직 1백만원이상 가격 차이가 난다. ...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아마도 14~18만 광년 사이일 것으로 생각됐다.거대한 폭발체인 초신성은 폭발 결과
대량
의 먼지와 가스를 쏟아냈다. 이 먼지와 가스는 별 주변에 고리모양을 만들었으며 점차 뜨거워짐에 따라 자외선을 뿜어 탐지할 수 있게 됐다.그 고리는 초신성의 자취와 지구를 연결한 가상평면으로부터 4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불과했으나 최근에는 전체혈액공급량의 70%를 넘어섰다."빈혈이나 혈우병 환자가 특별히
대량
출혈을 한 경우가 아니라면 혈액성분중 일부분만을 공급, 최소의 신체부담으로 최대의 치료 효과를 거둬야 한다. 쉽게 말해 철결핍성 빈혈이나 악성빈혈로 고생하는 환자에게는 적혈구만,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용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서둘러 개발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패의
대량
사육이 가능해야 한다.석패과 패류는 반드시 유생을 어체(魚體)에 붙여야만 유생이 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유생은 물고기의 지느러미나 아가미에 붙기 위해서 갈고리 감각털 유생사 등 특수한 기관을 ... ...
1 애플에서 매킨토시로 좁스의 비전과 제록스의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미약하기는 해도 스피커를 연결해서 음을 발생시켰다.셋째로는 디스크 드라이버 같은
대량
기억장치를 도입했다. 이전까지는 카세트 녹음기를 이용해서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했는데 이 장치는 읽고 쓰고 찾는데 시간이 너무 걸렸다. 디스크 Ⅱ는 1백KB가 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기억시킬 수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공해피해를 극복하게 하는 간접효과만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현재 도시의 떡집에서는
대량
으로 쑥을 말려 두었다가 이것을 겨울에 끄집어 내 연중 계속해서 쑥떡을 만들고 있다. 이때 쓰이는 쑥은 잎이 커서 그대로 국을 끓여 먹기에는 부적당하다. 그러나 건조 재생용으로는 그런대로 쓸 만하다.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자연적으로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가 늘어난다. 이를 응용해 유전공학으로
대량
의 박테리아를 기르거나 자연산 박테리아를 모아 오염지역에 집중살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아직 많은 논란이 따르고 있다.가장 큰 문제는 인위적인 미생물살포가 기존의 생태계를 교란한다는 점이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