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상"(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꾸벅꾸벅 존다. 그냥 졸린 것과 기면증은 어떻게 다른 걸까.“기면증 환자가 졸린 정도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마치 시차에 적응하지 못한 것처럼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잠에 마구 빠져들지요. 정상인은 리듬을 되찾으면 졸린 증상이 사라지지만, 기면증 환자는 치료받지 않으면 평생 시차에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번 영화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과학적으로 가능한 상상력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자칫 잘못하면 과학적으로 오류가 있는 지식을 대중에게 심어줄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 ‘11시’에서 ‘웜홀을 통해 시간여행이 가능할까’라는 질문은 크게 중요하지 ... ...
- [매스미디어] 세이빙 산타 산타의 썰매를 지켜라!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알 수 있다.만약 이 상황이 약간 헷갈린다면, 친구가 농구공을 튀기면서 뛰어가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달리는 친구 입장에서는 공이 아래 위로만 튀어오르지만, 서 있는 사람한테는 공이 지그재그 형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마찬가지로 달리는 썰매 위의 산타가 보기에 공이 바닥으로 1m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수학적인 노력을 해왔다. 밤하늘에 떠 있는 별을 보며 우주를 상상했고, 나아가 별의 움직임에 어떤 규칙이 있는지 알아내고자 했다.요하네스 케플러(1571~1630)는 기하학을 통해 천체 궤도의 종류를 처음으로 알아낸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그는 당시 가장 유명한 천문학자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맬서스의 가차 없는 수학에 입각해 우리를 지옥의 첫 번째 고리 가장자리로 내몬다. 상상조차 하지 못한 속도로 추락을 예비한 채….로 전세계에 이름을 알린 댄 브라운의 소설 의 한 구절이다. 지옥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말을 하고 있어 왠지 무서운 느낌마저 든다. 이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결정했습니다.” 시작할 때 인원은 네 명이었다. 이들에게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는 상상하기 힘들었다.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에 마련된 천랩의 한켠에는 당시 고락을 다짐했던 네 사람이 추운 겨울에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시린 바람이 부는 듯한 건물 야외에서 두꺼운 옷을 입고 찍은 사진이다.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만족감과 거리가 멀다. 어쩌면 새로운 파괴일지도 모른다. 그래도 물리학자들은 탐색과 상상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힉스 입자는 발견됐지만, 제2, 제3의 힉스 입자가 존재할지도 모르기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PART 2. ...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끊임없이 상상하고 탐구하는 일을 ‘공상’이라고 표현했다. 지적 호기심에서 출발한 상상은대부분 허망하게 공상으로 끝나버리지만, 이런 공상에서 위대한 이론이 탄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10월 5일 열렸던 수학콘서트도 공상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프랙탈 구조를 음악으로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차가 나을 텐데요. 초원을 헤쳐나간다는 건, 생각만큼 쉽지 않을 거예요. 거리도 상상 이상으로 멀 거고.”다시 차가 달리기 시작했다. 윤희나는 머릿속이 복잡했다. 아이를 데리고 온 일에 관해 해명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게 중요한 게 아니었다. 아니, 물론 중요했다. 전쟁도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 있는 체력이 다져졌고, 닥치는대로 읽었던 책들 덕분에 많은 생각을 하게되고 다양한 상상을 하면서 꿈을 꾸게 해주고 있다는 것. 그래서 정 교수는 석사과정 학생들에게는 관련 분야 연구논문을 많이 읽고 배우라고 얘기하지만, 박사과정 학생들이나 박사후 과정 연구원들이 논문만 읽고 있는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