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테니까요. 어찌됐든 우리 부모님들이 왜간장이라고 불렀던 건 산분해간장과 양조간장인 셈이에요.다시 한번 정리해봅시다. 간장은 쓰는 용도에 따라 국간장, 진간장, 조림간장 등이 있어요. 국에는 국간장, 무침이나 회에는 진간장, 좀더 맛있는 소스가 조림간장이죠. 그리고 콩이나 메주에서 어떻게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프로젝트입니다.전소리: 핵융합을 위해 세계가 융합한 셈이네요.황용석: 그렇습니다. 처음에는 미국, 유럽연합, 일본, 러시아(당시 소련) 네 개 나라로 시작했죠. 우리나라는 늦게 참여했지만 현재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이터 기술총괄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어느 지역, 어느 깊이를 거쳐 왔는지 플랑크톤을 보면 알 수 있다. 일종의 블랙박스인 셈이다. 예를 들어 진도 연안에서 발견된 시체에 제주도 플랑크톤이 보인다면, 시체가 해류를 타고 먼 거리를 이동해왔다고 의심해볼 수 있다.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김일평 과장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 ...
- [News & Issue]스텔스 기능 쓰는 갑오징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갑오징어(위 사진)가 천적을 피하기 위해 스텔스 기능을 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듀크대 생물학과 크리스틴 비도어 연구원팀은 갑오징어가 상어 등 포식자의 눈에 ... 조절해 6밀리볼트 수준으로 낮춘다. 상어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전기적인 방법으로 스텔스 기능을 쓰는 셈이다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숫자가 많다보니 저희들이 어떻게 신호를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면역의 방향이 결정되는 셈이지요. 사회자 역시 머릿수로 밀어붙이는 전형적인 세포이기주의입니다! 뉴트로필 저희는 T 세포가 현장에 찾아올 수 있는 길라잡이 역할도 합니다. 이름하여 ‘헨젤과 그레텔 전략’입니다. 지난해 9월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붙습니다. 빠르게 핵심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려내고 습득하는 근육이 뇌에 붙는 셈이죠. 예를 들어 제가 설계에 참여했던 세종시 정부청사의 경우, 사람들이 정부에 원하는 게 무엇인지, 또 정부가 국민들에게 하고자 하는 말이 무엇인지를 빠르게 파악해야 했습니다. 공부를 하다 보니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번 바바이 교수의 증명이 맞다면 그래프 동형 문제는 생각보다 P에 매우 가까워지는 셈입니다. 예전에도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어떤 수가 소수인지아닌지 판별하는 문제는 한동안 NP문제이면서 P인지 아닌지 몰랐습니다. 한참 동안 P에 매우 가까운 알고리듬만 알려져 있었지요.그런데 2002년 인도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해석했다. 즉 대기 중에 유해기체가 늘고 산소가 줄어 동식물 대부분이 질식사한 셈이다.하지만 나쁜 일만 닥친 것은 아니었다. 대륙이 쪼개지고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새롭게 바다가 생겨났다. 그래서 육지와 바닷속에, 그리고 지형과 기후에 따라 동식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었다.산맥 ... ...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깨닫습니다. 게임 단계만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직감적인 수학 능력이 늘고 있었던 셈이지요.그 사이 버터맥주에서 모락모락 피어오르던 김이 사라졌네요. 다음에는 더 맛있는 음료와 함께 더 재미난 이야기로 만나기로 해요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도로 완전히 달랐다. 우연히 생긴 틈이 크게 벌어지면서 상상치 못한 결말을 맞은 셈이다. 로렌츠는 아주 작은 차이가 증폭돼 완전히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현상을 ‘나비 한 마리가 브라질에서 퍼덕인 날개짓이 텍사스에서 토네이도를 만 들 수도 있다’는 비유로 설명했다. 오늘날 누구에게나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