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한번에 전류가 많이 흐르기 어렵다. 원하는 시점에 전류가 빠르게 흘려서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줘야 하는데 채널이 짧으면 스위칭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그렇다면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를 22나노 공정에서 더 줄이면 어떻게 될까. 이인구 인텔코리아 상무는 “공정을 더 줄이면 누설 전류가 더 ... ...
- 뉴로피드백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볼 수 있을지 모른다.자기 스스로 뇌를 조절하는 기술은 뇌파 분야에서 시작됐다. 뇌파는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델타, 세타, 알파, 베타, 감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뇌질환이나 감정 상태에 따라 주파수 성분이 변한다. 이 때 측정한 뇌파 상태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그림이나 소리, ...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초음파 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리 알지 못하면, 변형돼 도착한 초음파 신호만으론 바다 속 상태를 추측할 수 없다.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데 미지수가 너무 많아서다.해답은 러시아에 있었다. 러시아는 30년 동안 해수 표본을 채취해 바다의 기초적인 성질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데이터를 ... ...
- 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당신을 찍는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투시카메라를 만들 수 있다. 렌즈의 카메라가 아닌 테라헤르츠파가 만들어 내는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만드는 방식이다. 몸 속 종양을 찾아내거나 공기 중의 독소, 호흡기 질환을 연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연구팀의 케네스 오 박사는 “CMOS와 테라헤르츠파를 접목한 칩을 휴대전화에 사용하면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당분간 만나기 어려워. 하지만 아이언맨 같은 입는(웨어러블) 로봇은 특별하게 뇌 신호를 주고받지 않아도 자기 생각대로 움직이게 할 수 있어. 로봇과학자들은 입는 로봇을 당장 실현할 수 있는 교감형로봇이라고 생각해. 그런데 입는 로봇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충격은 흡수하면서도 미세한 ... ...
-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받은 청신경이 다시 뇌로 신호를 전달해 소리를 인식하게 된답니다. 뇌에 전달된 청각 신호는 변연계와 소뇌, 청각피질과 운동피질 등 다양한 부위로 전달돼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하거나 리듬에 맞춰 몸을 움직이게 하는 등 다채로운 반응을 일으켜요. 음악이 주는 느낌이 현재 자신의 감정과 ...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신호도 텅 빈 공간을 가로질렀다. 침몰 위기를 마주한 배가 절박한 심정으로 보낸 구조 신호였다. 그러나 눈부신 섬광도 드넓은 바다 위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 희미한 불빛일 뿐이었고, 빛의 속도로 달리는 전파도 구조선을 빨리 끌고 올 능력은 없었다. 불과 며칠 전세간의 주목을 받으며 첫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네트워크로 구성해 해상도를 높인다. 전파는 파장이 길어서 서로 다른 망원경으로 받은 신호를 하나로 중첩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보통은 지상에 간섭계를 만드는데, 전파망원경을 우주로 올려보내면 지구보다 지름이 큰 초장거리간섭계를 만들 수 있다. 라디오아스트론은 지구에서 최대 39만 km까지 ...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길어져야 한다. 이 경우 빛보다 빠른 뉴트리노는 오류로 판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신호발생기가 문제였다면 뉴트리노의 속도는 오히려 더 빨라져야 한다. 현재 연구소는 어느 쪽이 원인인지 밝히고 있다.새로운 실험 결과도 논란에 가세했다. 20일 뒤인 3월 16일, 같은 연구소의 다른 팀에서 ...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시스템 생물학과를 선택한 것이다.일단 학부에서는 관심을 넓게 가지고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체계와 다양한 종류의 텔로미어를 연구는 게 하영 군의 목표다.“연구실 생활이 힘들다고 하는 선배들을 보면 저는 오히려 부러워요. 연구실에서 사는 게 꿈이에요. 국력을 키우려면 기초과학을 놓치면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