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 사이에 아토피가 발생하는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이에 대해
연구자
들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준비할 때 올바른 균주나 효과적인 균주의 조합을 찾지 못한 결과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임 교수팀이 개발한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 IRT5는 현재 한국야쿠르트에서 발효유제품에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0년 뒤에는 연료전지 기술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 고등학생들이
연구자
의 길로 들어선다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할 시기다. 성 교수는 현재 고등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만한 분야라며 연료전지에 매력을 느끼고 있는 학생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보도자료의 글을 훑어보고 글의 초점에 맞춰서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렇게 그린 그림은
연구자
가 다시 검토한다. 잘못 표현된 부분이 있으면 수정한다. 이 과정을 몇 번 거쳐 그림은 완성되고 보도자료에 포함돼 언론에 배포된다.이 과정에서 어떤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야 할지 심사숙고하며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시간당 200달러(약 22만원)씩 매긴다면, 1000달러(약 110만 원)는 받아야 하는데….공동
연구자
들을 만나 한두 주 힘써 연구를 한다. 내가 해외여행을 자주 가는 것을 주변 사람들은 부러워한다. 하지만 파리에 가도 내가 제일 좋아하는 오르세미술관 한 번 못 가보고 2주 연구여행 중에 반나절 쉰다면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결합해 뚜껑이 열리고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 표면의 항원과 결합해 성장을 억제한다.
연구자
들은 “나노로봇을 이용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오리가미는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새로운 생체조절물질로 쓰일 수 있다는 말이다.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배운 분자 정보에 기반한 분류학 지식을 겸비하고 있는 윤 교수는 이곳저곳에 공동
연구자
들이 포진해 있다. 윤 교수는 올해 본격적으로 성균관대 실험실을 꾸리고 있다. 현재 구성원은 석사과정에 입학한 대학원생 한 명과 며칠 전부터 출근하는 박사후연구원 두 명이 전부다. 그가 대학에 들어갔을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비정상적으로 가공되고 그 양도 적다. 이 유전자의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자
들은 이 유전자가 피부 세포가 접히는 배열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지금까지 두 사람의 지문이 동일한 사례가 보고된 적은 없다. 지문이 확고한 증거로 채택되는 이유다. 일란성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천 명의 물리학자들이 이를 통해 LHC 데이터를 연구하고 있다. 이처럼 언제 어디서나
연구자
들이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방식을 ‘e-사이언스(e-science)’라고 한다.2011년, LHC는 더욱 성능을 높여서 2010년 데이터의 약 150배에 달하는 데이터를 얻었다. 물리학자들은 이를 분석해 힉스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소프트웨어 중심의 활용기술개발에 특히 중점을 둘 것”이라며 “MRI를 이용하는
연구자
가 만족할만한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역설적이게도 아주 결정적인 반론은 컴퓨터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
에게서 나온다. 이 주장을 ‘기능주의’라고 부른다. 마음의 기능은 뇌나 컴퓨터의 물리 장치와 구별되므로 물리적 장치에 대한 연구가 정신적 기능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그러나 이와 같은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