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묶는 방법에 따라 다른 진법으로 표기할 수 있으므로 매우 다양한 난수로 이뤄진 수
열
이 생긴다.이같은 양자난수 기술은 정말 예측이 불가능한 난수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러면 정보시대에 꼭 필요한 ‘완벽한 보안’을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안심할 수 있도록 귀중한 데이터와 개인 정보를 ... ...
[과학뉴스] 북극서도
열
섬현상… 마을 주변이 10℃ 더 따뜻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열
섬현상은 도시를 괴롭히는
열
대야의 주범이다. 태양의 빛 에너지가 도심 빌딩에 저장돼 밤중에도
열
을 뿜어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층 빌딩이 거의 없는 ... 난방이 거의 유일한
열
공급원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 결과는 노르웨이에서 1월 28일
열
린 ‘북극 프런티어 학회’에서 발표됐다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무작위성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이 알고리즘은 주기가 있고, 주기에 따라서 숫자 나
열
이 반복된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럼에도 이 알고리즘을 많이 쓰는 데는 이유가 있다. 씨앗으로 사용하는 숫자가 어느 정도 크면 사람은 물론 컴퓨터도 규칙을 찾는 게 불가능해진다. 즉 난수로 봐도 무방한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아세베스 교수는 “자가소화작용을 소두증의 원인으로 단정 짓긴 어렵다”고 했다.
열
병을 일으키는 또 다른 플라비바이러스인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도 자가소화작용을 일으키긴 하지만 소두증은 일으키지 않는다. 자가소화작용 하나만으론 소두증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의미다.가장 좋은 방법은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과정에서 그 버블 안에 광물 결정이 성장한다. 이후 지질 변화 과정에서 광물질이 풍부한
열
수 용액이 한 번 더 침투하면 새로운 화학반응으로 다채로운 광물이 형성된다. 1851년에는 데칸고원의 푸네 지역 인근에서 인도 횡단 철도의 터널 공사를 하던 도중 보석처럼 번쩍이는 광물들로 가득 찬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시즌3]‘순대렐라’의 유리구두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하지만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지. 이 금고는 매번 다르게 주어지는 문제를 풀어야만
열
수 있다고. 유리구두를 꺼내고 싶다면 단 한 번에 문제를 풀어야 할 거야. 하하!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진짜 신데렐라는 어디에?모든 문제를 해결한 썰렁홈즈는 있는 힘껏 순대렐라에게 유리구두를 신겨 ... ...
[News & Issue] 더우면 수컷되는 악어,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때는 암컷으로 부화한다. 연구팀은 알에서 자라고 있는 북미산 악어의 생식샘에서
열
에 민감한 TRPV4 단백질을 발견했다. 실험 결과 TRPV4는 35℃ 전후 온도에서 발현되고, 세포 내로 칼슘이온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수컷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시켰다. 또 TRPV4 발현을 화학적으로 억제하자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지표의 연령이 최소 250만 년 이하인 ‘젊은’ 지역과, 화산활동으로 추정되는 고
열
점(hot spot)을 발견했다. 학계에서는 금성의 두꺼운 황산 구름이 이런 화산이 폭발하면서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활화산은 관측된 적이 없다. 아카쓰키가 대기 중 황 화합물의 농도 변화와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해주신다면요?황용석: 우선 수학과 물리에 대한 공부를 충분히 해야 합니다. 인문사회 계
열
의 학문이 글로 논리를 전개한다면, 공학은 물리적 사고로 논리를 전개하는 학문입니다. 수학은 그 논리를 펼쳐 나가는 언어고요. 하지만 무엇보다 꿈에 대한 확신이 우선입니다. 모든 학문이 그렇겠지만,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
열
확산을 예측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8주 전에 확산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것을알아냈습니다. 보아투 교수는 “이 모형은 뎅기
열
뿐 아니라 다른 전염병이 확산되는 양상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며 “수많은 생명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사이암 응용수학’ 2015년 12월호에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