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동"(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뱀의 비늘을 가진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나아갔답니다. 이후 베르톨디 교수팀은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의 비늘을 만들어 이동 속도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비늘이 사다리꼴 모양일 때 로봇이 가장 빨랐답니다. 베르톨디 교수는 “앞으로 구조 및 의료 분야에 뱀 로봇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군집드론은 통신을 통해서 드론끼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보병 부대와 함께 이동해요. 동시에 고층 빌딩이 밀집된 지역에서 주변의 지형 정보를 제공해주고, 나아가 적의 갑작스런 공격을 알려 주는 역할도 할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 ...
- [Tech] 모델명 ASUS ROG GLADIUS Ⅱ 마우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000DPI 수준입니다. DPI가 중요한 이유는 이것에 따라 실제 마우스를 움직인 거리와 커서의 이동거리 비율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DPI가 높을수록 적은 움직임으로 커서를 빠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순간적으로 빠르게 반응해야 하는 게임에서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DPI가 높다고 좋은 것은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단층에 둘러싸인 좁고 긴 ‘V’자 모양 골짜기)과 해령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판들이 서로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 발생한다. 따라서 발산형 경계나 수렴형 경계와 달리 새로운 판이 생성되거나 원래 있던 판이 사라지지 않는다. 대륙판과 대륙판이 어긋난 산안드레아스 단층, 해양판과 해양판이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학생들의 관심도 뚝 떨어질 게 염려되는 것이지요. 최근에는 드론, 자율주행차 무인이동 기술이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로 뽑혔습니다. 이 기술 발전에 기하학 원리는 빠질 수 없습니다. 그런데 3차원 공간을 다루는 공간좌표와 공간도형이 수능 출제 범위에서 빠졌습니다. 이런 수학이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V2X)은 또 다른 해결 방식으로 꼽힌다. V2X는 차량 간 연결(V2V), 차량과 인프라(V2I), 이동 단말기(V2P) 등 모든 사물과의 연결을 통칭한다. 센서의 가시거리는 최대 200m이지만, V2X는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된 만큼 인지 범위에 한계가 없다. 1km, 10km 밖에있는 도로 상황까지 알 수 있다. V2X 기술의 관건은 ... ...
- [Culture] 시폰 케이크 & 베이크드 알래스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거품을 낼 때 계란 흰자에 많이 들어 있는 단백질인 오브알부민은 공기 쪽으로 이동합니다. 이 단백질은 물을 좋아하는 부분과 싫어하는 부분을 모두 갖고 있어 거품벽(계면)을 잘 감싸줄 수 있습니다. 거품이 잘 생기도록 돕고, 거품을 안정화시키는 계면활성제 역할을 합니다. 공기가 가득 들어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감지해서 3차원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세계를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실제로 시선이 이동한 것처럼 느끼게 합니다. 결국 HMD는 ‘눈에 쓰는 마우스’라고할 수 있어요. 진화하는 VR 게임다음 단계는 좀 더 ‘생생’하게 느끼도록 만드는 거예요. 만약 가상세계에서 자동차를 타고 움직인다고 ... ...
- FIFA 세계 랭킹에 숨은 모든 것!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않은 제도현재 점수 체계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대륙별 가중치입니다. 이동 거리나 일정을 고려하다 보면 아무래도 같은 대륙의 국가와 경기를 많이 치르게 됩니다. 같은 대륙의 국가끼리 경쟁하는 대회도 많고요. 그렇다 보니 매치포인트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생긴다는 지적이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아니라 말랑말랑한 재질을 가진 로봇을 말한다. 가오리처럼 유연하게 몸을 움직이면서 이동하는 가오리로봇이 대표적이다. 조규진 기계공학전공 교수는 이 분야의 권위자로, 손이 마비되거나 근육이 손상된 환자들이 손을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소프트로봇 등을 개발한 바 있다. 이 로봇은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