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업일"(으)로 총 3,08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리고 붙이고~, 나만의 책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따가운 태양빛은 한결 부드러워졌고 후덥지근하던 공기는 어느덧 선선해졌어. 드디어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이 온 거야! 혹시 천고마비 말고 가을의 또 다른 별명을 아니? 맞아~!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고도 하지. 올 가을에는 몸 대신 마음을 살찌우겠다는 각오를 단단 ... ...
- 우주복 패션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1969년 7월 20일은 닐 암스트롱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표면에 발을 디딘 날이야. 40년이 흐른 지금 사람들은 다시 한 번 달 여행을, 그리고 화성을 비롯해 우주 저 너머를 탐험하는 여행을 계획을 하고 있지. 그 계획을 현실로 이루는 데 꼭 있어야 할 게 바로 우주복! 커가는 우주여행의 꿈과 함께 우 ...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3호
- “이효리가 여기 있다고? 아무리 찾아도 안 보이는데?”눈을 씻고 찾아봐도 S라인의 효리는 보이지 않는다! 눈을 휘둥그레 뜨고 살펴봐도 소녀 팬을 몰고 다니는 잘생긴 강타도 찾을 수 없다! 생전 처음 보는 낯선 얼굴이 씩웃으며 서 있을 뿐! 이렇게 엄마도 친구도 몰라보게 체인지한 비법은 바로 ...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과학동아 l2008년 12호
- 8000만 년 전 백악기 후반 한반도 남부. 큰 머리에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숲의 제왕’ 타르보사우루스(주인공 점박이)가 앞발에 기다란 발톱이 삼지창처럼 3개나 달려 있는 ‘숲의 검객’ 테리지노사우루스와 숨 막히는 결투를 벌이고 있다. 점박이가 사냥을 나간 사이에 자신의 새끼를 죽인 테리 ...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과학동아 l2008년 12호
- “거극도가 112도이고 입수도는 익수의 3도입니다.”1759년 관상감의 제조(실무 최고 책임자)가 혜성의 위치를 묻자, 혜성의 모습을 열심히 그리던 안국빈이 답했다. 안국빈은 조선시대 유명한 천문학자로 특별히 이번 혜성을 관측하라는 명을 받았다. 거극도는 혜성이 북극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 ...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네이처’ 7월 10일자에 옵신 구조 규명. ‘네이처’ 9월 25일자에 옵신 복합체 구조 규명.세계 톱 저널에 두 달 간격으로 연거푸 논문을 실어 화제가 된 전북대 화학과 최희욱 교수. 그런데 논문을 보면 뭔가가 이상하다. 논문 저자 대부분은 독일 베를린 훔볼트의대 소속이고 최 교수만이 전북대 소 ...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과학동아 l2008년 12호
- 크리스마스에 남자친구와 로맨틱한 데이트를 즐길 생각에 나귀찬 씨는 벌써부터 마음이 들떴다. 어떤 옷을 입어야 남자친구에게 예쁘게 보일까. 새 옷을 한 벌 장만하고 싶은데 쇼핑은 딱 질색이다. 피팅룸에서 일일이 옷을 갈아입기가 너무 귀찮다. 허리는 잘록하고 다리는 길쭉한 ‘표준체형’이 ...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서 교수님, 큰일 났습니다. 팔당호에 페놀이 유출됐습니다. 팔당호 수질예보시스템을 가동해야겠습니다. 빨리 이쪽으로 와주십시오.”전화기 너머 담당자의 다급한 목소리가 들렸다. 올 것이 왔구나. 서 교수는 양복 재킷을 집어 들고 서둘러 나갈 채비를 한다. 차에 시동을 걸면서도 머릿속엔 온 ... ...
- 무선전력 송신의 꿈과학동아 l2008년 12호
- 공부의 주체는 학생이며 스스로 질문하고 답변할 때 진정한 공부가 이뤄진다고 믿는다. 학생들이 이런 능력을 갖출 때까지 끊임없이 자극하고 격려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휴대전화, 노트북, MP3….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전자기기를 이용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과학동아 l2008년 11호
- 1900년대 초 일본 도쿄제국대 화학과 이케다 기쿠나에 교수는 다시마를 넣고 끓인 맛국물(‘다시(だし)국물’이라는 일본식 용어의 순화어)의 독특한 맛의 비밀을 찾고 있었다. 이케다 교수는 4가지 기본맛, 즉 신맛, 짠맛, 단맛, 쓴맛을 내는 재료를 어떻게 조합해도 맛국물 특유의 맛을 만들 수 없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