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설의 초콜릿 발명가의 비밀 웡카의 초콜릿 수학 공장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세계 최대, 최고의 초콜릿 공장 ‘웡카의 공장’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이곳은 지난 20년간 누구에게도 공개한 적이 없는 특별한 공장입니다. 저 윌리 웡카가 개발한 초콜릿 세상에서 여러분은 그동안 어디서도 보지 못한 광경을 보게 될 겁니다. 후후, 그럼 함께 가실까요? 연관기사Intro. ...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첫 번째 코스는 우리 공장의 자랑이자 윌리 웡카 기술의 핵심 중의 핵심, 초콜릿 강입니다! 초콜릿을 흐르게 하는 게 뭐 어렵다고 자랑하냐고요? 아무것도 모르는 소리! 이 거대한 초콜릿 강이 제대로 흐르게 하는데 얼마나 대단한 기술이 필요한지 알면 깜짝 놀랄 겁니다. 초콜릿 강을 만들고 ...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오전 8시, 투명한 태양전지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살을 받으며 잠에서 깬다. 오후 2시,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냉장고에서 시원한 아이스커피를 꺼내 마신다. 오후 9시, 태양전지 조명이 밝히는 자전거도로를 안전하게 달린다. 먼 미래의 하루가 아니다. 수년 뒤 서울의 모습이다. 도시는 이미 빠른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밀 게놈이 최근에야 완성됐다는 소식에 의아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량이 밀보다 훨씬 적은(전 세계 기준) 벼는 2005년 게놈이 완성됐고, 늦었다는 옥수수와 보리마저도 2009년과 2017년에 해독을 마쳤는데 말이다. 첫 번째 이유는 밀 게놈은 해독하기 불가능에 가까운 ‘괴물’이기 때문이다. 게놈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영화 ‘타이타닉’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 로즈가 바닷속으로 던져버린 블루 다이아몬드 목걸이를기억하는가. 이 목걸이는 ‘대양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호프 다이아몬드(Hope diamond)를 모태로 만들어졌다.호프 다이아몬드는 진한 청색을 띠는 블루 다이아몬드로, 소유한 사람에게 죽음을 가져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제가 산업공학에 몸담은 지 35년이 됐는데, 아직도 스스 로에게 ‘산업공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요. 아마 평생 고민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문제는 우리의 원동력이기도 해요. 산업은 계속 바뀌고, 항상 새로운 것이 나타나니까요.” 홍유석 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학과 ... ...
- 초코볼, 적분을 부탁해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익숙한 것은 아닙니다. ‘적분? 나 그거 알아. 아주 쉬워!’라고 말하는 경우를 본 적은 없으니까요. 하지만 사실 그 원리로 들어가면 아주 단순명쾌하다고 느낄지도 모릅니다. 준비물은 별 것 없습니다. 그저 모눈종이와 초코볼이면 됩니다.직사각형이나 원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모두 잘 알 ...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붕붕 주스’ ‘붕붕 드링크’ ‘박카리스’ ‘붕붕 그레이트 스웨트’ ‘카페인 뱅뱅’.요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각성 음료 레시피다. 에너지음료에 자양강장제, 비타민 C, 이온 음료 등을 함께 넣어 마시는 ‘칵테일’형 에너지음료가 새로운 각성 음료로 회자되고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데 성공했죠. 지금까지 소행성을 스쳐 지나가거나 표면에 잠시 접촉해 시료를 채취한 적은 있었지만, 소행성 표면에 인간이 만든 물체가 직접 닿은 것은 미네르바가 처음입니다. 미네르바는 로버-1A와 로버-1B의 2대로 구성돼 있습니다. 육각형 통 모양에 지름 18cm, 높이 7cm, 무게 1.1kg의 작은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주 탐험으로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희의 탐험이 단순히 탐험만을 위한 탐험에 그칠 거라곤 생각지 않습니다. 우리에겐 이제까지 봤어야 했지만 보지 못한 것들이 있습니다. 지금에서야 그것들을 볼 수 있게 된 것입니다.”1962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