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번째 공리에 의심을 품었다. 이를 부정하고 모순을 증명하려 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정리를 많이 얻었지만, 결국 실패했다.사케리의 노력이 물거품이 된 건 아니다. 뒤를 이어 독일의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러시아의 니콜라이 로바쳅스키, 헝가리의 보여이 야노시, 이탈리아의 에우제니오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플라톤! 고대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 말씀이시군요!” “저는 그들이 말한 사실을 정리했을 뿐이에요. 물론 제가 논리적으로 따져 명제가 성립하는 이유를 증명하기도 했지만요. 이 체계적으로 수학을 기술한 첫 번째 책이라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졌을 뿐이에요.”유클리드는 겸손하게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용된다. 즉, 주점 토크의 실재 여부와 상관없이, 이 글만 꼼꼼히 읽어봐도 분란은 금세 정리될 것이다. 할데인은 뭐라고 썼을까.더 흥미로운 사실은, 오직 작은 개체군에서만 자연 선택이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를 선호하리라는 것이다. 당신으로 하여금 범람한 강물에 뛰어들게 해서 아이를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숨은 공로자들 말이에요.”물론 한정된 지면에 모든 과학기술을 정리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책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빠진 내용을 모아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독자들과 토론할 수 있는 게시판도 열었다. “여기에 실리지 않았지만, 문명 재건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높이가 얼마인지 적어요. 그러면 쌓기 나무가 어떻게 배열돼 있는지 위쪽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요. 보통 문제를 이렇게 바꿔서 풀기 때문에 평면 분할이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놀랍게도 이 문제는 조합론뿐만 아니라 표현론과 통계물리와도 관련이 있어요.“직소퍼즐도 평면 분할 문제와 관련이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떵이, 호치, 새초미가 또 말썽을 부렸나 봐요. 저와 함께 살고 있는 강아지들이에요. 서열 정리가 안 됐는지 종종 싸워요. 물론 여긴 늘 시끌시끌 하니까 쟤들이 싸우는 소리쯤은 넘길 수 있는데, 싸움을 말리겠다고 집사 오빠가 슬리퍼로 바닥을 팡! 팡! 치는 소리에 더 놀라곤 해요. 휴, 이러다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읽었거든요. 뇌파검사장치가 소파에 심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님께서도 생각을 정리할, 말하자면 이미 내린 결론을 언어로 풀어낼 시간이 필요하시겠지요.”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가 테이블에 놓인 태블릿 PC를 흘끗 보면서 말했다.루소니, 일반의지니, 표본오차니 하는 낯선 단어들이 나오는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우리가 사는 지구에는 무수히 많은 다양한 종류의 생물들이 살고 있어요. 물에 사는 생물, 땅 위에 사는 생물, 하늘을 나는 생물, 눈에 잘 보이지 않 ... 수 있는 방법을 자유롭게 학생들과 이야기하면서 멸종위기 생물 보호 실천사항을 각자 정리해 본다 ...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관찰해 어떤 지역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보전 상태가 어떤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한답니다. 그 결과에 따라 매년 생물들을 7등급으로 분류해 발표하고 있어요. 가장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관심필요종, 취약근 접종, 취약종, 위기종, 위급종, 자생지절멸종, 절멸종으로 나누는 거예요. 또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부족하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앞으로 5년마다 멸종위기종 목록을 정리하는 것과 함께 일반인들도 누구나 멸종위기종을 목록에 추가등록 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랍니다.국립생물자원관 오현경 연구사는 “올해 ‘멸종위기종위원회’를 만들어 환경부에 들어온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