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의
제언
제기
제공
건의
충고
권유
d라이브러리
"
제안
"(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움직이는 3차원 홀로그램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8년 동안 연구단이 보인 성과는 그의 말과는 다르다.김 교수가 광굴절 재료 개발 연구를
제안
해 창의연구단에 선정된 것은 1998년. 고분자 광굴절 재료가 1995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것을 감안하면 선진국보다 3년이나 늦게 시작한 연구지만 그의 성과는 세계 최고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광굴절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동물이 존재할 것이라고 주장했고 바이킹호 외부에 미끼를 붙여서 동물을 유인하자는
제안
까지 했다. 게다가 야행성이므로 탐사선에 야간 촬영용 라이트를 달자는 억지를 부리기도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화성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VIKING FILE #4 세 ... ...
우주로 날아가는 999 기차역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우주로 떠나는 은하철도의 기차역을 어떻게 만든다는 것인가.마지막 교각 높이는 99.9m
제안
한 쪽에서 기차는 만들어 온다고 했으니까 결국 하늘을 향해 날아가는 열차 선로와 교각이 핵심이었다. 판타지영업부 직원들은 애니메이션을 돌려 보며 힌트를 찾기 시작했다. 마징가Z와 달리 이번에는 ... ...
대기는 4층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새뮤얼 퍼거슨 박사는 열기구를 탄 채 아프리카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대담한 모험을
제안
한다. “빅토리아(열기구의 이름)와 함께라면 어떤 위험에 빠지더라도 두렵지 않아. 더우면 위로 올라가 고 추우면 다시 내려오면 돼. 산을 넘고 강을 건너고 폭풍우를 뚫고 나갈 거야. 낯선 도시의 하늘 을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C{O}_{2}$)를 액체로 만들어 바다 밑에 주입할 것을
제안
했다. 대기 중에 증가하는 이산화탄소를 바다 밑에 저장하면 지구온난화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할'(HAL)처럼 컴퓨터일 수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상상력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물리학자 존 휠러가 ‘블랙홀’이란 용어를
제안
하기 1년 전인 1966년 스타트렉 오리지널 시리즈에서는 빛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별을 ‘블랙스타’라고 부르는 선견지명을 발휘했다.특히 1980~90년대로 넘어오면서 스타트렉은 훨씬 세련된 상상력으로 ... ...
꿈일까, 현실일까? 눈앞에 펼쳐지는 에너지 유토피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우주에서 생산한 전기에너지1968년 미국의 물리학자 피터 글레이저 박사가 처음
제안
한 우주태양광발전 송수신장치 모형이다. 우주에서는 태양빛이 지상보다 훨씬 강하고 날씨와 밤낮에 구애받지 않아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지구궤도에 태양전지판을 단 위성을 띄워 생산한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동시에 원하는 정밀도로 그 값을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를
제안
했다보어는 광자가 때로는 입자처럼 때로는 파동처럼 행동하는 듯이 보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상보성 원리를 도입했다 자연세계 특히 미시세계를 볼 때에는 A라는 측면과 B라는 측면을 볼 수 있고, 이 두 측면 ... ...
강철기둥 엘리베이터 타는 마징가Z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두 방안을 모두 채택했다.일부에서는 매직핸드라는 새로운 개념의 유압식 승강장치를
제안
했지만 너무 실험적이라 채택하지는 않았다. 매직핸드는 작은 유압 기둥을 올려서 마치 손이 쭉 뻗어나가듯이 위로 빠르게 올라가는 장치지만 마징가Z처럼 무거운 로봇에 적용하기는 어려워 보인다.이 같은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배추인 ‘지부’ 계통이 표준모델로 선택됐다. 미국이 양배추 게놈연구 컨소시엄을
제안
했지만 한국 연구팀의 배추 게놈 연구가 앞서 진행됐고 유럽과 캐나다가 이를 인정한 결과다.배추의 게놈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충남대 식물자원학부 임용표 교수는 “배추(A유전체)와 양배추(C유전체)를 합성해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