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협회
혼합
길드
회
콤비네이션
혼화
d라이브러리
"
조합
"(으)로 총 1,7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지금까지 제시한 나노기술은 나노물질을 화학적으로 먼저 제조하고, 이것들을 벽돌 삼아
조합
해서 실질적인 나노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반해 아예 벽돌인 나노분자만으로도 극미세 나노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분자차원의 나노장치를 만들 수 있다는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이것과 관련되는 연구가 생물공학이다. 요새는 이를 두고 재
조합
유전자기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람 성장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대장균 같은 생물체에 넣어 잘 키우면서 대장균으로 하여금 사람들이 원하는 인간성장호르몬 같은 것을 만들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을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물질제조공정에 비해 훨씬 간단하면서도 비용도 절감되지 않을까. 이 때문에 자가
조합
연구에 매달리는 과학자가 많다.나노과학은 만능?나노과학은 우리에게 어떤 미래상을 제시해줄까. 자신을 나노과학의 주창자라고 부르는 미국의 나노주의자 에릭 드렉슬러에 따르면, 나노과학은 만능인 것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비록 같다고 하더라도, 인간 유전자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엑손(exon) 부위를 다양하게
조합
하고 정교한 세포 내 편집과정을 통해 다른 생물보다 평균 3배 정도 많은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는 말이다.그러나 여기서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는 게놈연구에서 추정된 인간 유전자 수는 여전히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머릿속에 맴돌 때 그의 두뇌는 슈퍼컴퓨터 이상의 능력을 발휘한다. 모든 가능성의
조합
속에서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알아내려면 어떤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위해 어떤 실험값이 얻어져야 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다. 그는 아이디어를 찾고 실험물리학자들이나 공학자들이 ... ...
1. 감성공학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영상 등 여러 미디어가 혼합됨으로 인해서 많이 복잡해졌지만, 컴퓨터 하나로 모든 것이
조합
가능하고, 활용가능하다. 웹사이트에 가면 한꺼번에 원하는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문서내용으로 평가받던 웹사이트 시대는 갔다. 어떻게 하면 웹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게 사용자의 감성을 ...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한다.개별적으로 분석된 염기서열 조각의 AGCT암호는 컴퓨터를 통해
조합
돼 DNA의 전체서열이 된다.배추의 경우 5억5천만 염기쌍이므로 염기서열이 밝혀진 BAC조각 5천5백개 이상을 컴퓨터로 분석해 전체서열을 완성한다.확보된 전체 DNA의 염기서열 정보는 컴퓨터에 저장되며 ... ...
③ '유전자가 변형된 콩' 내년부터 표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면치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유전자재
조합
실험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안전윤리위원회 등을 갖춘 연구소가 4개(19%)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유전자변형생물이 환경에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설을 갖춘 곳은 하나도 없었다고 한다.우리나라는 ... ...
복제 들소 '노아' 탄생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복제하려는 연구의 경우, 세포핵의 DNA가 많이 손상돼 염색체를 다시
조합
해야 할 형편이다.그러나 샘플을 잘 보관하고 있는 경우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올해 멸종한 부카르도(bucardo, 스페인의 산악지대에 사는 산양)는 복제를 통해 부활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초 마지막 부카르도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것이다. 이 두별은 확연히 다른 색의 대조를 느낄 수 있다. 색의 대비가 아름다운 별의
조합
으로는 서쪽 지평선 위에 걸려있는 백조자리의 베타별인 알비레오도 유명하다. 맨눈으로는 알 수 없지만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주황색 별 옆에 푸르게 빛나는 별이 달라붙어 있어 보석처럼 아름답다.파란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