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둘러싼 큐빅만 있다면 어떨까? 다이아몬드가 영롱하게 빛날 때 함께 있는 큐빅이 어우러
지면
서 아름답게 반짝거릴 수 있는 거야. 교과 활동에 충실할 때 비교과 활동이 더욱 의미 있는 거란다.” 선생님은 지금 N학생의 학습에서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를 스스로 찾아보라고 주문했다. 언어영역이 ... ...
관성과 ‘친해지길 바래’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고실험). 엘리베이터가 정지 상태에서 출발해 위로 가속운동을 할 때, 엘리베이터 밖
지면
에 정지해 있는 관찰자(관성계)가 엘리베이터 안의 인형을 보면 엘리베이터와 함께 위로 ‘가속’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관찰자가 엘리베이터 안에 함께 타고 가속운동하면서(비관성계) 그 인형을 ... ...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를 세어 봐요. 그런 다음 여름에 오이가 열리면 오이의 수를 세는 거죠. 원래오이꽃이
지면
그 자리에 오이가 열리기 마련이지만 모든 자리에서 먹음직한 오이가 열리는 건 아니랍니다. 오이꽃의 수와 실제 열린 오이의 수를 비교하면 자연스럽게 확률의 개념을 배울 수 있답니다.식물에서 가져온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는지 세기 위해 손가락을 이용했다. 그러다 손가락이 부족할 정도로 개수가 많아
지면
작은 돌멩이나 조개 껍데기를 사용했다. 만약 양이 13마리 있다면 작은 돌멩이 13개를 우리 입구에 두었다가 양과 하나씩 맞춰 보았다. 그런데 어느 날 모아 놓은 나무 열매가 42개가 되어 이를 세던 작은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데 이어 지난해에는 60as 레이저까지 만드는 데 성공했다. 펄스폭이 아토초보다 더 빨라
지면
? 젭토초(zs, 1zs=10-21s), 욥토초(ys, 1ys=10-24s)가 된다. 욥토는 원자의 길이와 중량을 표시하는 데 쓰이는 단위. 욥토초 펄스 레이저가 개발되면 원자핵 크기만 한 구조를 조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단 펄스폭이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기획 기사의 발굴은 직업 기자들이 맡고 있다. 교수나 학자들에게 1주일에 한두 번
지면
을 할애하는 수준인 신문이나 다른 인터넷 매체와는 운영 방식 자체가 다르다. 현직 과학자와 연구자로 활동하는 7명의 전문 필진이 만드는 지식 창고는 선정성을 배격하는 편집 방침을 뚜렷이 대변한다.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좋은 기운이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간의 기운이 왕성해진다. 하지만 이 작용이 너무 심해
지면
간의 기운이 위로 치솟아 오행의 발생순서상 화(火)를 생성한다. 즉 애가 왕성해지다 못해 타들어 가는 셈이다.실제로 걱정을 많이 하면 간의 기운이 너무 왕성해져 열이 발생하는 간화상염(肝火上炎)의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물 속에 있을 때의 비늘은 형언할수 없이 화려한 하늘색으로 아름답다. 하지만 배로 올려
지면
색소판이 작동되지 않아서인지 검은 점들만 남고 화려한 색상은 사라진다. 자연의 생명체가 죽어서 자신의 빛을 잃는 것은 아쉽지만 우리에겐 신선한 단백질 공급원이다.하와이에만 서식하는 하얀 새가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되는 주파수들로 화음을 이루게 된다. 가령 성대의 진동으로 120Hz의 기본 주파수가 만들어
지면
인두강을 거치면서 그 배수인 240Hz, 360Hz 등의 주파수 음들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수의 주파수를 ‘하모닉스’라고 하는데, 보통 신뢰감을 주는 목소리는 하모닉스가 풍부하다. ▲ V자 모양의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번식지와 멀리 떨어진 비번식지를 1년에 1번 이동한다. 대개 날씨가 바뀌고 먹이가 부족해
지면
계절에 따라 사는 곳을 옮긴다. 새들이 방향을 찾는 데는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다. 태양이 비치는 방향을 나침반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길잡이의 근거로 활용하기도 한다. 또 때에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