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정"(으)로 총 3,09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반지름과 이오의 공전 주기의 차이를 이용해 뢰머는 빛의 속도를 약 초속 20만km로 추정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값의 2/3정도로 상당히 그럴듯한 값이다. 그는 또한 빛의 속도가 무한대가 아니라는 사실도 처음 밝혀냈다. Promise빛의 속도를 약속하다빛의 속도는 진공에서 ‘정확히’ 초속 299,792,45 ... ...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메갈로케로스는 천 적이었던 검치호랑이나 늑대, 그리고 인 간에게 잡혀 먹혔던 것으로 추정된다. 글 립토돈은 갑옷처럼 생긴 등갑 구조를 노 린 인간들에게 사냥 당했다. 함께 살던 대다수의 초식동물이 멸종하면서 육식 동물도 자연스럽게 멸종했다.티타니스를 포함하는 ‘공포새’들은 조 금 ... ...
- [과학뉴스] 비만보다 운동부족이 더 문제라니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명 가운데 67만6000명은 운동 부족과 관련이 있고 33만7000명은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 결과는 ‘미국임상영양학저널(AJCN)’ 1월 14일자에 발표됐다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000t을 200L 드럼에 넣으면 2만 개가 넘게 나온다. 비용은 약 2470억 원(2012년 산업통상자원부 추정). 원전 1기 해체 비용 6033억 원의 41%다. 그래서 방사성폐기물 양을 줄이는 게 원전해체의 핵심이다.이제 원전해체를 시작해 보자. 집에서 쓰레기를 줄일 때 가장 손쉬운 방법은 분리수거다. 원전도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강 바닥 모양이 단순해지고 수심이 깊어지면서 저서무척추동물이 떠났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새들도 모래섬이나 주변 습지가 사라지자 함께 떠났다.수자원 가치도 별로 없고 관광 효과는 미약수자원 확보와 홍수 및 가뭄 예방 효과도 불확실하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다. 애초에 마스터플랜은 물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종 가까운 종이 알려져 있고,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한반도에도 1400~1500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표본을 담은 종이봉투에 적힌 글을 흘끔 보니 ‘치즈지의(Rhizocarpon) 속’에 속하는 지의류였다. 한라산 서쪽의 영실에서 윗세오름으로 오르는 등반 코스에서 2007년 채집했다. 지의류가 붙어 있는 ... ...
- [과학뉴스] 전세계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26만9000t!과학동아 l2015년 01호
- 6~7배 많다. 에릭센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현재 바다 표면에 떠 있는 플라스틱만을 추정한 것일 뿐”이라며 “어류가 삼킨 훨씬 많은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플로스원)’ 12월 10일자에 발표됐다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관계없이 영남지역에서 성감별 출산을 하는 임산부의 비중은 2.0%로 전국의 두 배로 추정됐다.그렇다면 왜 출생성비가 정상을 찾은 것으로 보이는 걸까. 답은 낮은 출산율에 있다. 넷째 이상 출생아의 수 자체가 적다보니 전체 출생성비에 영향을 덜 끼쳤던 것이다. 김 교수는 “만약 앞으로 셋째 ... ...
- [과학뉴스] 미라 100만 구 묻힌 거대 묘지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되는 남성도 있었다. 시신들은 로마와 비잔틴제국이 점령했던 1~7세기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해당 시기에는 묘지 근처에 시신을 수용할 만한 큰 도시가 없어 100만 구가 넘는 시신이 어디서 왔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분석하겠다며 스위스 로잔 동물박물관과 공동으로 미확인동물에서 채취된 (것으로 추정되는) 샘플을 수집한다고 보도했다. 사익스 교수는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같은 고대 인류의 뼈에서 DNA를 추출해 1989년 ‘네이처’에 최초로 논문을 출판한 유명한 과학자였기에, 과학계 안팎에서 그의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