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d라이브러리
"
활발
"(으)로 총 2,37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간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며 학습자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국내외에서
활발
하게 이뤄지고 있다.Case 2_ PDA에 병원균을 퍼뜨려라교사가 학생들이 모르는 사이에 몇 명의 학생에게 ‘질병’을 퍼뜨린다. 적외선 통신기능을 이용해 ‘병원균’을 감염시킨 것이다. 물론 사람이 감염되는 ... ...
물질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일까요?WHO?3000~4000년 전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페니키아는 영국과 이집트 등 주변국과
활발
한 무역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천연소다를 가득 실은 한 척의 배가 페니키아에 상륙했다. 식사 준비를 위해 해안가에 불을 지핀 선원들은 냄비를 받칠 돌이 없자 배로 달려가 소다 덩어리 몇 개를 ... ...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혈액을 맑게 해 주는 사포닌과 혈관을 강화 시켜 주는 플라보노이드, 신장의 작용을
활발
하게 하는 비타민B1과 B2가 풍부하다. 오징어먹물에 들어 있는 일렉신 성분은 암을 막아 주고 나쁜 균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동맥경화와 고혈압을 막아 주는 White food콩으로 만든 두부나 된장, 청국장은 단백질이 ...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주로 후자의 자리옮김이 일어난다어떤 원소가 화합물에서 유리되는 순간에 대단히
활발
한 반응성을 나타내는 상태 예를 들어 황산으로 만든 과망간산 이온 또는 중크롬산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수소를 첨가해도 변화는 일어나지 않지만 아연과 황산을 첨가하여 용액 속에서 수소를 발생시키면 ... ...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노상률 박사와 김진철 박사. 두 박사는 “한·스위스 협력 이후 과학자들의 교류가 더
활발
해지길 기대한다”고 입을 모았다.스위스의 수도 베른에는 지난해 상대성이론 100주년을 기념해 마련된 아인슈타인 전시관이 있다. 상대성이론을 발표할 당시 아인슈타인이 베른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제 ... ...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태양 활동이 매우
활발
해 24시간 이내에 70%의 확률로 또 다른 폭발이 예측되므로 계속해서 우주날씨 속보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15년 후 태양활동 극대기에 예상되는 TV의 우주날씨 속보를 가상으로 꾸며본 내용이다. 앞으로는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등 다양한 로봇물고기를 만들어 냈어요. 일본의 경우 장난감 로봇물고기의 연구가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지요. 로봇물고기 외에도 로봇바닷가재, 로봇거북, 로봇해파리 등도 연구되고 있답니다. 우리 해미래, 로피와 함께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수중로봇들. 자유롭게 움직이는 수중로봇을 타고 ... ...
소나무가 죽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소나무들은 자체적으로 병을 이겨 낼 수 있는 내성을 갖게 되었지요. 그러나 물류 이동이
활발
해지면서 소나무재선충병은 전 세계로 급속히 퍼져나갔고, 병에 대해 무방비 상태인 아시아와 유럽의 소나무숲은 손 쓸 겨를도 없이 쓰러져 갔어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발견된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저널’ 최신호는 캘리포니아 주교육청 조사결과를 인용해 운동을 많이 할수록 뇌 활동이
활발
해지고 학업성취도가 올라간다고 보도했다. 그러니 수술로 뇌 용량을 늘린다는 먼 나라 이야기를 꿈꾸는 것보다는 지금 당장 ‘잼잼’이라도 시작하자. 손을 오무렸다 펼 때마다 뇌는 흥분한다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항상 존재하지만 개기일식 때만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코로나 연구는 케플러 이후 더
활발
해졌다.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는 개기일식을 연구하면서 코로나의 중심이 달의 중심과 일치한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그는 코로나란 달의 대기가 태양에 의해 빛나서 생기는 것이라고 믿었다.그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