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뉴스
"
단점
"(으)로 총 1,46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따라 고개 돌리는 ‘해바라기’ 태양전지
2015.09.09
0% 더 많이 모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복잡한 장치 탓에 지붕에 달기에는 무겁다는
단점
이 있었다. 스타인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태양광 발전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8일 자에 실렸다. ... ...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90%(이론적)에 이르는 반면, 전송거리가 1cm 내외로 매우 짧다는
단점
이 있다. 이
단점
을 극복한 것이 자기공명방식이다. 자기공명방식은 2007년 미국 MIT 마린 솔랴사치 교수팀이 고안한 것으로 송, 수신부에 추가적인 공진코일(입력코일, 부하코일 등)을 사용해 먼 거리까지 전력을 효율적으로 보낼 ... ...
일촉즉발 상황, 北 포탄 날아오면 어떻게 대응할까
2015.08.23
약 8시간 정도밖에 쓸 수 없어 한 지역에서 24시간 감시하려면 3~4대가 필요하다. 이런
단점
을 해결하기 위해 음향탐지장치 역시 개발돼서 쓰인다.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 서해 일원에서 사용되는 영국산 장비 ‘할로(HALO)’나 우리나라 국방과학연구소(ADD) 연구진이 최근 개발한 ‘에이플러스’ 등이 ... ...
은나노 와이어로 분자 단위 유해물질 잡아낸다
2015.08.19
개발되고 있지만 핵심 부품인 기판의 성능이 불안정하고 제작 방법이 까다롭다는
단점
이 있다. 연구진은 나노구조 사이에 생긴 공간에 빛이 들어오면 증폭된다는 점에 착안해 미세한 유해물질과 빛이 만날 때 생기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은나노 와이어 기판을 만들었다. 특히 이 기판은 은나노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효율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기존 나노잉크 프린팅 기술의
단점
역시 보완했다. 보통 나노잉크 프린팅에는 잉크인 나노입자가 서로 엉기는 현상을 막고 코팅막을 치밀하게 하기 위해 독성이 있는 유기물 분산제를 써 왔는데 이번 기술에는 이를 쓰지 않고 보다 친환경적인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변화에 따라 발전 효율이 달라지고 하루 종일 전기를 만들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 이
단점
을 해소하기 위해 대용량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을 추가로 연구 중이지만 효율이 떨어져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염분차발전은 바닷물에 들어 있는 염화나트륨(소금) 등의 물질을 양이온과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커서 소자를 작동하는 데 들어가는 에너지의 3분의 2가 열에너지로 소모된다는
단점
이 있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개선할 대안으로 상온에서는 반도체 상태를 유지하지만 500도 이상 고온에 노출됐다가 상온으로 돌아오면 도체로 변하는 카멜레온 같은 성질을 가진 ‘다이텔루륨 몰리브데늄(MoTe2 ... ...
30분 안에 인플루엔자 확진 진단기 개발
2015.07.31
콧물 등을 채취해 대형 검사장비가 갖춰진 장소로 이송한 후 6시간 이상 분석해야 하는
단점
이 있었다. 연구진은 복잡한 분자진단검사 과정을 간략하게 줄여 검사 시간을 대폭 단축했다. 여러 개의 가느다란 튜브를 사용해 시약 검사를 한 번만 진행해도 미생물을 여러 종 검출할 수 있도록 ... ...
당뇨병 치료제로 타이레놀 부작용 막는다
2015.07.30
약을 투약해 치료하지만 과량 투여 시 많은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단점
이 있었다. 동아일보DB 연구팀은 GADD45β 유전자를 결핍시킨 실험쥐에게 아세트아미노펜을 과다 투여하자 급성 간독성이 2배가량 증가하고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GADD45β 유전자를 발현시켜 간독성을 ... ...
배상민 KAIST 교수 ‘레드닷어워드’ 대상 수상
2015.07.28
수송에 최적화된 컨테이너를 스마트 교실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컨테이너의
단점
인 폐쇄성, 단열 문제 등 교육 환경에 부적합한 요소를 디자인으로 보완한 점이 높이 평가 받았다. 배 교수팀은 또 자가발전 인터랙티브 텐트 ‘차세대 텐트’와 온도차로 발전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