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뉴스
"
대로
"(으)로 총 1,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일에서 남북 대학원생 함께 교육받는다
2015.10.14
서독 간 과학기술 회담을 34차례 열었다. “독일 통일 때처럼 남북한은 기회가 오는
대로
잘 활용해야 합니다. 탁상공론에 그치지 않는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교류가 중요합니다.” ... ...
국립대→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개원
2015.10.12
에 이어 국내 네 번째 과학기술원으로 12일 공식 출범했다. 울산과기원은 2009년 국립
대로
개교했지만 2012년 울산과기대법 일부개정 법률안이 발의된 뒤 지난달 28일 과학기술원으로 전환됐다. 과학기술원이 되면서 학생들은 정부 지원으로 장학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박사과정 학생들도 별도 ... ...
황토고원에서 날아온 흙먼지가 황허에 쌓인 줄 알았더니…
2015.10.11
바람을 타고 날아온 흙먼지가 쌓여 형성됐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 가설
대로
라면 황토고원과 황허 침전물의 구성 성분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황토고원은 티베트고원에서 침식된 물질들이 황허를 타고 떠내려 온 뒤 가라앉는 장소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연구주제는 DNA연결효소(ligase)였다. 연결효소는 말 그
대로
DNA 가닥을 붙여주는 효소로, DNA복구에서 마지막 과정이다. 그 뒤 본격적인 DNA복구 연구에 뛰어든 모드리치는 미스매치(잘못 짝지음) 복구(mismatch repair, MMR)라는 복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DNA복제는 매우 정교한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찾아나갔다. 머크연구소의 기생충전문가 윌리엄 캠벨은 오무라 교수(1975년 기타자토
대로
옮겼다)로부터 받은 균주를 갖고 기생충에 감염된쥐를 대상으로 약효실험을 했다. 그의 목표는 동물의 기생충약을 찾는 것. 그 결과 한 균주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었고 추가 실험을 통해 아버멕틴이라는 ... ...
“노벨상은 두 번 이상 받을 수 없다”, 진실 혹은 거짓?
동아사이언스
l
2015.10.03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공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결국 노벨위원회는 전통
대로
두 사람만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2012년 발견한 소립자, 힉스 확실시” 3. 노벨상은 2번 이상 받을 수 없다? 거짓 노벨상은 한 번에 상을 받는 사람은 정해져 있지만, 한 사람이 받을 수 있는 ... ...
네이버-카카오 ‘포털뉴스 감시단’ 10월 출범
동아일보
l
2015.09.25
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설립을 위한 준비위원회’는 24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
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규정합의안’을 발표했다. 7월 네이버, 카카오가 온라인에 뉴스를 공급하는 언론 매체를 제3의 독립기구가 선별해 줄 것을 공개 ... ...
차세대 드론·자동차 한층 더 빠르고 안전해진다
2015.09.23
생겨 드론 추락 확률이 높았다. 듀얼OS기술은 가상의 이런 문제를 해결해 전자기기 한
대로
도 두 개의 가상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더 작고 가벼운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비전력도 절감된다. ETRI 연구진은 이 기술과 동시에 전자기기에 문제가 생기면 자동적으로 실행 중인 ... ...
검사시간·소음 줄인 MRI… 10초면 확인 가능한 CT기기…
동아일보
l
2015.09.23
의료업계도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이달 9∼12일 서울 강남구 영동
대로
코엑스에선 대한영상의학회 학술대회(KCR)가 열렸습니다. 11일 그 현장을 방문했는데요. 몇 달 사이의 변화를 피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올해 70돌을 맞으며 한국 의료계의 대표 학회로 자리 잡은 KCR에는 전 ... ...
과학기술계에 ‘어벤져스’가 등장했다
2015.09.20
특징이다. 연구팀은 얇은 망토를 만들기 위해 빛을 산란시키는 안테나를 달았다. 이론
대로
라면 기존에 여러차례 소개된 바 있는 부피가 큰 투명망토의 한계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