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전파재난 대비 독자 위성관측 로드맵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5
활용할 수 있겠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재진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날
천문
연이 준비하고 있는 우주관측 초소형위성 SNIPE를 소개했다. 자기장과 태양 입자를 관측하는 초소형위성 4대가 제어에 따라 한꺼번에 움직이는 군집위성이다. 한 위성의 크기는 6유닛(U·1U=10㎝ 정육면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보낸 《우주의 신비》를 받기도 했었다. 그러나 갈릴레오는 1609년에 나온 케플러의 《신
천문
학》에서 제시한 타원궤도를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 또한 케플러가 망원경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는데도 무시했다고 한다. 당시 갈릴레오는 유럽 전역의 유지들에게 곧잘 자신의 망원경을 보냈었다. ... ...
생명체 거주 가능 '골디락스' 행성도 행성 나름
연합뉴스
l
2019.11.13
위험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외계생명체를 찾는
천문
학자들이 들여다봐야 할 범위를 좁히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허블 우주망원경과 앞으로 배치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외계행성의 수증기와 오존 등을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 ...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이 쏘아올린 속도위반 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은하 중심부를 중심으로 도는 방향이 아니라 바깥 방향(지구 쪽)을 향하고 있어 많은
천문
학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육상 경기로 치면, 모두가 트랙 위를 조깅하는 속도로 달리는데, 이 별만 전속력으로 트랙을 가로질러 운동장 밖으로 나가고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 별의 진행 궤적과 속도를 ... ...
스페이스X, 로켓 재활용 새 이정표…위성 무더기 발사에
천문
학계 갈등 커져
2019.11.12
스페이스X는 이달 11일 1단 로켓을 4번 재사용한 '팰컨9' 발사에 성공했다. 스페이스X 트위터 캡처 미국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가 이달 11일 1단 로켓을 ... 위성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천문
학계와 공유하고 효과를 평가 분석하기 위해 전세계
천문
학 그룹과 대화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 ...
100년에 13번만 펼쳐지는 '수성의 태양면 통과쇼'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연도가 1761년과 1769년일 것을 예측하고 관측법과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발표해 미래
천문
학자들이 대비하게 했다. 이를 토대로 1769년에 측정된 거리는 약 1억 4967만 ㎞로 지금의 측정값인 1억 4960만 ㎞과 거의 비슷하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이 돌아간 주제인 외계행성을 발견하는데도 이 현상이 ... ...
우주전파센터, 2019 우주전파환경 기술 워크숍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및 군 관계가 교류협력을 위해 2015년부터 매년 워크숍을 열고 있다. 박상영 연세대
천문
우주학과 교수가 최근 관심이 커지고 있는 ‘초소형 위성망의 설계와 활용, 전망’이라는 주제로 기조 연설한다. 송호준 작가는 2013년 세계 최초로 개인이 직접 무게 1㎏의 초소형위성을 만들어 우주로 날려 ... ...
1년전 태양계 넘어 성간우주로 간 보이저 2호, 태양계 밖 정보 잔뜩 쏟아내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경계에 관한 연구한 5편의 논문을 동시에 공개했다. 돈 거넷 미국 아이오와대 물리
천문
학부 명예교수 연구팀은 보이저 2호의 플라즈마 관측값을 분석해 보이저 2호가 태양권계면을 넘어갔음이 확실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태양권의 끝자락인 ‘태양권덮개’에서는 세제곱센티미터(㎤)당 0.002의 ... ...
“이번엔 달에서 태양-수소 에너지 얻어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태양전지 기술도 적극 활용해 산업생태계를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영준 한국
천문
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한국도 궤도선과 착륙선 탑재체 연구에 더 큰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워싱턴=김민수 동아사이언스 기자 reborn@donga ... ...
깡통 하나 못 띄우던 한국 '위성 개발 강국'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흐름이 변했고, 한국도 30년 전처럼 우주 후진국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대희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아직 국내는 우주에서 수행하는 과학 연구가 부족하다"며 “인공위성연구소는 소형위성을 이용해 과학연구를 지원하고 우주를 탐사할 역량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이정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