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FLL 로봇대회 열린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팀으로만 참가할 수 있다. 팀은 만 9~16세의 청소년 5~10명으로 구성한다. 학생들이 과제를
연구
분석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팀을 이끌어주는 코치도 필요하다.FLL대회는 레고에서 만든 로봇인 마인드스톰 NXT로 대회를 치른다. 세계의 모든 팀이 같은 경기장에서 14가지 임무를 2분 30초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한국 첫 쇄빙선 아라온 호가 지난해(2010년) 10월 남극으로 출발했다. 두 번째 남극 출항이자 세 번째 임무다. 두 번에 걸친 남, 북극 탐험을 통해 안 ... 새로 참여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빙하 기포 속에 있는 미세입자를 수 ppt 단위까지 분석하는
연구
에서 세계적인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분야가 접목된다는 걸 배우며 독서량도 많이 늘었다.“영재고에 들어올 때는 생명공학을
연구
하고 싶다고 꿈을 말했어요. 하지만 들어와보니 배울수록 더 많은 분야가 있고, 하고 싶은 일이 많아졌어요. 자연스레 과학뿐 아니라 인문사회까지, 많은 책을 읽고 있어요.”때로는 밥먹을 새도 없이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모인 한미일 과학자들의 목소리를 현장 취재해 담았다. 2파트는 상온 다강체
연구
에 매진하고 있는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김기훈 교수와 김재욱 박사가 다강체의 개념과 응용을 소개하는 글이다. 3파트는 얼음과 구조가 같은 스핀 아이스라는 물질에서 구현된 모노폴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다뤘다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띠는 물질을 찾는다면 응용가능성이 무척 크기 때문에 필자의
연구
팀도 현재 이
연구
에 매진하고 있다. 머지않아 산업계에 실제로 응용되는 다강체 소자가 출현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필자를 비롯한 한국의 물리 학자들이 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상 예약한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것.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전자전달계나 크렙스 회로 같은 대사경로를 개발한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분자생물학회 학술지(EMBO Reports) 1월호에 발표됐다 ... ...
토종 로봇 휴보, 미국-싱가포르 수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인간형 로봇인 휴보2가 미국, 싱가포르의 대학 및 국책
연구
기관에 수출됐다. 한국기술로 만든 인간형 로봇이 선진국의 로봇기술
연구
에 토대를 제공 ... 처음”이라며 “앞으로 휴보2 공급을 늘려 로봇제어 기술을 함께
연구
하는 ‘휴보 공동
연구
그룹’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담고 있는 면적이 넓고 정확하다. 지금까지는 달 지도의 오차가 최대 10km 당 1km 정도였다.
연구
팀은 표면의 위치 오차는 10km당 30m, 높이 오차는 10km 당 1m까지 줄였다.지금까지는 그림자에 가릴 때가 많아 자세히 볼 수 없었던 달의 극지 환경도 알 수 있게 됐다. 달궤도탐사선은 경도를 따라 움직이기 ... ...
개가 고양이보다 똑똑한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영향을 미친 셈이다. 고양이가 개보다 사교성이 낮은 것도 뇌 크기와 관계가 깊은 셈이다.
연구
팀의 수잔 슐츠 박사는 “협동과 협력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 ...
빛으로 떠오르는 광학 날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빛을 동력으로 활용하는 우주선을 개발하면 연료 걱정 없이 우주를 항해할 수 있다. 공상 과학에나 나올 법한 이런 우주선을 개발하는 ... 옮길 때 활용할 수 있다”며 “우주선의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
는 ‘네이처 포토닉스’ 12월 6일 온라인 판에 발표됐다 ... ...
이전
1248
1249
1250
1251
1252
1253
1254
1255
1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