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물질의 근원에 대한 난제(難題)는 쉽게 풀린다. 왜냐하면 새로 탄생된 입자와 반입자간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이들이 서로 만나 소멸하더라도 우주엔 몇개의 짝잃은(?) 입자들이 홀로 남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남은 물질들이 차츰 모여 우리가 아는 은하나 별, 태양계들이 만들어졌다는 ... ...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2차원인 정사각형 내의 임의의 점을 1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종전 변수의 개수로 표시되던 2차원의 정사각형의 점은 1차원이 되는 것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2차원의 정의가 파기될 수밖에 없었다. 이 뜻은 심각했다. 1차원이 2차원과 같다면 1=2이며 따라서 수학이 성립될 수 없는 ... ...
-
- 도전 125년만에 풀린 '평면지도와 4색'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5년 03호
- 후에 이루어진 것이다.1950년 헤시는 처음으로 가약배치의 불가피집합을 발견했으며 그 개수는 약1만개의 배치다. 그는 또 가약성을 확인하는 계산프로그램을 작성했다. 헤시는 전하(電荷)의 방출과 유사한 방법으로 불가피성을 증명할 것을 생각했다. 방전법이란 적당히 +-를 띤 같은 양의 전하를 ... ...
-
- 범인 알아내는 생체측정 첨단기술과학동아 l1995년 02호
- x, y축의 좌표를 설정하여 지문의 위치를 정한다. 기준 템플렛을 정하기 위하여 둥고선의 개수를 세고, 지문검색에 영상처리 문제를 도입해 자체 개발한 VLSI(Very Large-scale Integrated Chip)나 신경망, 퍼지 등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한 지문 인식 시스템들이 나와 있기도 하다. 이들 장치들은 인식률도 높아 ... ...
-
- 광공해 없는 겨울 은하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5년 01호
- 1월7일까지 나타나며, 1월3일과 4일 사이에 가장 많이 출현한다. 극대일을 전후로 유성의 개수가 일시적으로 급격하게 늘어났다가 갑자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한편, 시간당 평균출현횟수는 45에서 2백에 이른다. 복사점은 목동자리에 있지만, 그 위치는 이따금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개 ... ...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과학동아 l1995년 01호
- ${x}^{n}$+${y}^{2}$=1 을 복소수로 그리면 몇개의 구멍이 있는 도넛의 표면이 되고, 구멍의 개수는 n이 짝수이면 $\frac{n-2}{2}$개다.${x}^{8}$+${y}^{2}$=1은 구멍이 $\frac{8-2}{2}$=3개, ${x}^{2}$+${y}^{2}$=1은 구멍이 $\frac{2-2}{2}$=0개, 즉 구의 표면이다 ...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일거에 해결해 주었다.빛의 휘도란 단위면적의 광원에서 단위시간 당 방출되는 광자의 개수. 휘도가 높다는 말은 빛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높다는 의미다. 또 빛이 퍼지지 않고 얼마만큼 집속력을 가지느냐는 분광휘도로 표현한다. 방사광은 바로 이 분광휘도가 엄청나게 높은 강한 빛이라고 할 수 ... ...
-
- 적도의 마운트 활용법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더이상 노출을 주어도 별빛의 축적효과를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사진에 찍혀 나오는 별의 개수가 노출에 따라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 자전으로 인한 별의 움직임 문제를 극복하여 좀더 화려하고 어두운 대상들의 사진을 찍으려면 별의 움직임과 똑같은 속도로 카메라를 움직여가며 촬영을 ... ...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감도가 2배 크면 같은 노출 시간일 때는 2배 정도 밝게 나온다.별사진을 찍을 때는 별의 개수가 더 많이 찍힌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필름을 선택하여 보통의 수동 카메라에 장착한 다음, 카메라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시킨다. 이때 카메라 삼각대는 크고 튼튼할수록 좋고 카메라를 원하는 방향에 ... ...
-
- 물리- 분자, 질량 작을수록 빨리 움직인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때 풍선 표면이 뽈록뽈록 튀어 나오는 것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분자가 너무 작고 또 개수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매끈하게 인쇄된 그림을 돋보기로 확대해 보면 작은 점들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미시적인 안목으로 보면 엉성한 점들로 이룬 그림이지만 거시적인 안목으로 보면 매끈하게 잘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