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일제히 환호성을 올리며 관찰에 몰두했다. 그러나 수십마리씩 무리진 곳에서 개별 종을
구별
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특히 오리류의 암컷은 모두 비슷해서 수컷을 확인하고 그 옆에 있는 것을 암컷으로 추정해야한다. 지도교수와 조교의 설명을 듣고 조류도감을 펴서 일일이 확인하고서야 '감' 이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많은 어려움이 있다.외계행성을 찾는 작업은 1천억W의 서치라이트 옆에 있는 1백W 전구를
구별
하는 것만큼 어렵다. 행성은 그만큼 어둡다. 그래서 외계행성의 발견은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외계행성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었을까.별 주위에 행성이 있다면 별은 공통질량 중심을 축으로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사실입니다. 사실 저는 오기전에 제자와 주남에서 한차례 탐사를 가졋지만, 여기서 새를
구별
하기가 어렵더군요.조삼래선생님들께서 새에 대해 관심을 가졋다는 점만으로 이 탐사가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 이번 경험을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새를 좋아하는 학생이 있으면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일정관리 소프트웨어를 보면 약속(appointment)과 할일(to-do) 행사(event) 등으로 세부항목을
구별
한다. 그러나 이는 우리 정서에는 적합하지 않다.하지만 평생비서는 업무관리를 하거나 주소록을 관리하는데 있어 우리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항목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우리의 업무 문화에 적합한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지능검사는 프랑스의 심리학자 비네가 학습장애아를
구별
하기 위해 시작했다. 사람들은 이 검사 결과를 인간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맹신하기 시작했다. 삼각 지능 이론심리학자들은 지능에 대한 연구보다 지능을 측정하는 시험에 대한 연구가 많다고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물체가 정지해 있을 때의 질량으로 변하지 않는 질량이다. 정지질량이라고 특별히
구별
하는 까닭은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라 질량도 변하기 때문이다.특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과 에너지가 같다. 따라서 두 물리량은 언제든지 상호 변환할 수있다. 방사성 물질이 핵분열하거나 수소가 핵융합한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노인성 흑자와 지루성 각화증이라는 두가지 질환으로 구분이 되지만 육안으로는
구별
이 안된다. 보통 이를 통칭해 검버섯이라 부른다.노인성 흑자는 빠르면 40대, 보통은 50대에 생기며 나이와 더불어 서서히 크기와 숫자가 늘어난다. 흔히 햇볕을 오래 쬘 때 생기는 일종의 노화현상이지만 인종에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몰래 침입해 복제 인간을 만들어낸다. 누가 인간이고 누가 외계인인지 겉으로는 전혀
구별
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영화는 클라이맥스로 치닫는다.영화는 외계인을 이데올로기라는 이름으로 인간을 획일화해 비인간적으로 만드는 사회주의자나 매카시스트로 빗대고 있다. 그 시대의 정치 ... ...
법학-죽는 사람에게도 권리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명백히 규정하고 그 판단기준을 명시해야 한다. 그래야만 단순한 식물인간상태와 뇌사를
구별
할 수 있다. 식물인간과 뇌사자는 의식 없이 혼수상태에 빠져있기는 마찬가지지만, 전자는 뇌간이 아직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몇 달 혹은 몇 년이고 그러한 무의식상태에서 살 수 있다. 그러나 뇌사자는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번지점프의 경기 방법은 안전띠를 묶는 방식에 따라 뉴질랜드식과 미국식으로
구별
된다. 뉴질랜드식은 발목 부분을 묶고 떨어지는 방식. 이는 매우 위험하지만 '간 큰' 선남선녀들은 "위험한만큼 짜릿함도 더하다"며 이 방식에 열광한다. 반면 미국식은 신체 위 아래를 연결하는 안전벨트를 가슴에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