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의 달인, 미식가 허풍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생각하면서 계산대로 간다.“저기, 계산해 주세요.” “네, 주어진 퍼즐을 보고 규칙을 찾아 물음표에 들어갈 숫자를 알아맞혀 보세요. 색이 같은 칸에는 같은 숫자가 들어갑니다. 퍼즐을 풀면 음식값을 안내셔도 돼요.”★ 요리대회 출전‘선생님도 참. 퍼즐을 풀면 새로운 요리를 준다고 했으면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못하는 반대 경우를 떠올리는 것이 생각하기 더 편리하다. 그러려면 둘 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계산한 결과가 10의 배수가 돼야 한다. 이때, 두 수 i, j가 처음부터 같은 수인 경우는 뒤바뀌어 입력됐다 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i≠j라 하자.먼저 abcdefghijklm의 경우 그 합을 A라 하면 A=(a+c+e+g+i ... ...
- [Sports Math] 규칙을 담은 춤, 댄스스포츠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최고의 운동 효과는 비엔나왈츠댄스스포츠는 원래 사교를 목적으로 만든 춤이다. 규칙을 잘 지켜야 하는 스포츠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댄스스포츠를 배우는 사람이 늘고 있다. 운동 강도와 에너지 소비량이 어느 운동 못지않기 때문이다.국제대회에서 댄스스포츠 ...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잘 갖춰 놓으면 괜찮은 성능을 낼 수 있어 자동번역기술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규칙을 구축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언어별로 분석기를 따로따로 만들어야 한다는 게 단점이다.[씨에스엘아이의 통역비서 앱 화면. 언어를 지정한 뒤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하면 자동으로 번역한 뒤 해당 언어로 ... ...
- PART 2. 수학은 놀이다!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원-샤오시엔 쑨 박사의 말이다. 게임을 이용해 수학으로 잘 놀기 위해서는 게임의 정해진 규칙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수다.이번 축제에 참가한 청소년들은 16종류의 다양한 게임을 즐기며‘수학으로 노는 법’을 함께 체험했다. 그중 가장 많은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가졌던 폴리오미노를 ... ...
- PART 4 수학퍼즐 200배 활용법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어디에도 없는 퍼즐을 처음부터 만들 수는 없으니까 기존의 퍼즐의 숫자를 바꾸거나 규칙을 바꿔 나만의 퍼즐을 만들어 봐. 퍼즐을 만든 다음엔 답이 하나인지 꼭 확인하고. 모든 경우의 수를 다 헤아려도 답이 하나뿐인 퍼즐을 만들기란 쉽지 않을 거야. 하지만 도전해봐! 어려운 만큼 나만의 퍼즐을 ... ...
-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친숙한 숫자 퍼즐이다. 스도쿠판은 9×9의 격자 안에 9개의 3×3격자가 들어 있는 구조다. 규칙은 미리 채워져 있는 몇 개의 숫자를 기준으로 9개의 행과 9개의 열, 그리고 9개의 3×3격자에 각각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한 번씩만 들어가도록 채워야 한다. 이렇게 9와 친숙한 게임인 스도쿠는 미리 채워져 ... ...
- 게임 마니아, 발명왕에 오르다수학동아 l2011년 09호
- 게임을 설명하는 상현 군의 눈빛이 무척 진지했다. 또박또박 논리적인 말투로 게임의 규칙을 설명하는 것이 초등학생답지 않다는 생각마저 든다. 지도교사인 남 선생님이 보는 상현 군은 어떤 학생일까?“상현이는 성취욕구가 매우 큰 학생이에요. 그래서 과제에 대한 집착력도 강하죠. 제가 어떤 ... ...
- PART 1 수학퍼즐이 뭐기에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도형을 만드는 퍼즐, 도형에 멋진 보조선을 그려 정답을 얻는 퍼즐, 여러 도형에서 규칙을 찾는 퍼즐이 도형퍼즐이야.예)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의 2배인 직각삼각형 5개로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 삼각형 한 개는 두 조각을 낼 수 있어.정답은 있다.3 논리퍼즐주어진 문제처럼 읽고 참과 거짓을 ... ...
-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만족감을 느낀 채 손을 떼지. 그런데 수학영재들은 답안을 찾고 그 답을 통해서 어떤 규칙성을 발견한대. 수학영재인 김진원 군의 풀이를 살펴볼게.김진원 군의 풀이 정답은 ➊, ➋, ➍다.벽면의 수가 홀수 개인 방의 개수가 두 개 이하일 때만 모든 문을 지날 수 있다. ➊처럼 벽면의 개수가 홀수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