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하면 자손 대에서 갈색 눈이 겉으로 드러나고 푸른색 눈은 우성에 가려 드러나지 않는다.
김
교수는 “이 때문에 세대를 거듭할수록 푸른 눈의 비율은 줄고 갈색 눈의 비율은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눈은 홍채에 분포하는 멜라닌 색소의 양에 따라 파란색, 초록색, 갈색을 띤다. 눈이나 머리 ... ...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것도 있다철 · 망간 · 니켈을 함유한다1893~1986 미국 생화학자 헝가리 부다페스트 태생
김
나지움을 거쳐 부다페스트 대학 의학부에 진학, 조직학에 흥미를 가지고 항문상피(肛門上皮)를 연구하여 1912년에 최초의 논문으로 발표했다파장이 1~10cm인 극초단파 진동수는 3~30kHz이다직진성이 뛰어나고 전파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쓸쓸히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집으로 향하는
김
탐정. 운 좋게 신형 전동차가 도착했고
김
탐정은 집전장치가 달리지 않은 T-카를 골라 탔다. 곡선 구간에서만 스킬 소음이 간간히 들리는 조용한 지하철. 그래서일까? 맞은편에 앉은 연인의 속삭임은 너무도 또렷하게 시린 가슴을 파고들었다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최근 전 러시아 스파이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의 사인은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인 폴로늄210 중독으로 판명됐다. 퀴리 부부가 발견한 이 물질은 자연계에 소량 존재하지만 세계에서 한 해 100g 정도가 원자로나 우라늄 광산에서 생산된다. 방사능: 불안정한 폴로늄 동위원소는 양성자, 중성자, 전 ... ...
과학자와 인문학자의 모임 eum이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최 교수가 진화경제학을 얘기하며 인간 개인의 본성을 따지고 들어가면 다른 한쪽에서는
김
교수가 역사학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끄집어낸다.이음의 첫 결과물은 1월 말경 나온다.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내용을 엮어 책으로 출판한다.후속 작업으로 미국 예일대에서 출판한 서적 ‘다윈의 대답’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사용해 분화효율을 높였다.2030년 줄기세포치료는 어느 단계까지 발전할까?
김
재상 교수는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심장근육세포나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 연골세포처럼 메커니즘이 비교적 단순한 경우는 줄기세포치료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골수에서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관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독립된 표현형으로 보기 어렵다.한편 을지병원 소아과
김
교찬 교수는 “독립된 표현형질을 나눴다고 해도 그와 관계된 유전자의 수는 한 두 개가 아닐 것”이라며 “유전자 한 개와 얼굴의 특징 한 개가 ‘일대 일’ 관계를 맺고 있으면 좋겠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특히 대장금이 중종(中宗)의 주치의가 되면서 조선 왕가의 병력이 화제에 올랐다.
김
교수는 순조(純祖)와 몇몇 왕실 가족의 처방을 조사한 결과 조선 왕가 대부분이 운동부족과 스트레스로 만성적인 위장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라는 결과를 발표했다.역사학자인 그가 조선시대 의학에 관심을 가진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일어날 수 있다아조옥시벤젠을 아세트산무수물과 200℃로 가열하면 주로 후자의 자리옮
김
이 일어난다어떤 원소가 화합물에서 유리되는 순간에 대단히 활발한 반응성을 나타내는 상태 예를 들어 황산으로 만든 과망간산 이온 또는 중크롬산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수소를 첨가해도 변화는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노력을 어깨 너머로 보니 앞으로 그렇게 쉽게 말할 수 없겠다는 뜻인 듯했다.
김
총영사는 송기동 과학관과 함께 이번 조인식을 막후에서 도와준 사람이었다. 두 사람은 필자에게 우리 외교관들이 정말 최선을 다하고 있고 또한 고생을 많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 줬다.전파망원경의 크기는 곧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