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따라 움직이게 된 것이다.개미의 집단지성은 컴퓨터보다 똑똑하다개미 한
마리
한
마리
가 사람을 능가하는 수학자라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는 사람처럼 머리를 써서 퍼즐을 풀거나 페르마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혼자서는 단순하게 움직일 뿐인 개미가 군집을 이루면 스스로 가장 ... ...
돼지가 궁금해? 돼지 보러오면 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씻지 않아도 냄새가 나지 않아요. 하지만 사람들은 고기를 많이 얻기 위해 돼지 여러
마리
를 아주 좁은 우리에 가둬 키워요. 그 안에서 먹이도 먹고 똥도 눈답니다. 그래서 돼지는 더러운 동물이라고 오해받고 있지요."김자정 (이천 돼지 박물관 사육사)돼지 아이큐는 75~85돼지는 똘똘하고 영리한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높은 듯 하지만 100만 개 알이 한 양식장에서 자란다고 생각하면 불임에 실패한 숫자가 2000
마리
로 결코 적지 않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영국 ‘왕립학회보B’에 게재한 논문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GM 연어와 근연종인 브라운 송어를 교배시켰다. ... ...
한우 배 안에 메탄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이산화탄소와 함께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범으로 꼽히지요. 소 한
마리
가 1년간 배출하는 메탄가스는 무려 4톤 이랍니다. 한우 뱃속에서 이만한 양의 메탄가스를 만들어내는 미생물의 정체를 우리나라 연구진이 처음으로 발견했어요.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김병찬 선임연구원팀은 ... ...
캐나다로 떠나는 여름방학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이번 여름방학엔 캐나다로 떠나볼까?천혜의 자연 경관을 지닌, 캐나다에서 영어와 체험, 두
마리
토끼를 잡아 보자! ...
동물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예로 들어볼께요. 통계청 축산물 생산비 자료를 보면 동물복지형 축산을 하면 한우 1
마리
당 생산비는 8.6% 증가한대요. 그리고 농림수산식품부가 2012년에 발표한 자료를 보니, 소고기 소비자가격에서 생산비 비중이 71.4%에요. 그러니 소고기 소비자가격은 6.1%만 비싸지는 거죠. 유통과정을 합리화하면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그물에 큰 물고기 153
마리
가 잡혔다.훗날, 성자 아우구수티누스는 예수와 함께 잡은 153
마리
의 물고기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153이란 수를 두 고 153은 17과 9의 곱이자, 1부터 17까지의 모든 자연수를 더한 값이라고 해석했다.그런데 이 뿐만이 아니라, 153은 수학적으로도 특별한 성질을 갖는다. 15 ... ...
새벽기차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말도 하지 않았다. 어쩌면 할 말이 없었을지도 모른다. 우리가 철새나 줄무늬큰뿔소 한
마리
를 잡아 와 다그치며 무슨 목적으로 그렇게 쏘다니느냐고 물어도 그들은 할 말이 없었을 것이다. 한바탕 심문이 끝나면 우리는 늘 그의 엔진을 반쯤 부수어 놓았고 그러고 나면 그는 며칠은 잔해 앞에 고개를 ... ...
[포토뉴스] 원숭이가 셈하는 법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뉴욕 세네카 동물원에 살고 있는 4~14살짜리 개코원숭이 8
마리
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속이 보이는 두 상자에 1~8개의 땅콩을 넣어 놓고, 원숭이에게 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원숭이는 자신이 선택한 상자에 들어 있는 땅콩을 먹을 수 있게 했다.여러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만약 하나의 나무에 유한개의 먹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같은 나무에 여러
마리
의 새가 먹잇감을 찾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 시간이 갈수록 먹이의 수는 점점 줄어들고, 먹이의 수가 줄어드니 당연히 나중에 날아온 새는 열매를 찾는 속도가 점점 느려지게 될 것이다.이런 원리라면 과연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