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염도가 높기 때문이에요. 물체를 물속에 넣으면, 물체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중력’과 반대로 물 위로 밀어올리는 힘인 ‘부력’이 작용해요. 이때 중력이 강하면 가라앉고 부력이 강하면 위로 떠오르지요. 그런데 용액이 진할수록 부력은 높아져요. 따라서 사해에서는 수영을 못하는 사람이라도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물체를 경계하기 시작했다.어류도 고통을 느낀다는 주장이 조금 더 우세한 편이지만 반대편 주장도 만만치 않다. 어류가 사람처럼 통증을 느끼기에는 신경섬유 밀도가 너무 낮다는 것이다. 사람의 피부에 있는 신경은 83%가 ‘C그룹 신경섬유’로 채워져 있는데, 선천적으로 통증에 둔감한 사람들의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뒤의 연구들도 간지럼은 통각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했죠. 그런데 1990년, 이와 반대되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신경질환국립병원의 피터 나탄 교수가 척수손상으로 통증을 못 느끼는 환자들이 간지럼을 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것입니다. 간지럼을 통각으로만 느끼는 것은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했더니 암과 관련된 유전자라고 밝혀지는 게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 경우는 제1종 오류와 반대로 특정 유전자가 암과 관련성이 있는데도 없다고 오류(제2종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지요. 유전학자는 대개 막대한 비용을 투자받아서 연구하는데 연구 성과가 없으니 매우 난감했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로봇연구소 바이오에너지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요아니스 이에로풀로스 교수다. 지구 반대편에서 도착한 그의 e메일에는 자신감이 엿보였다. “우리 센터는 지난 15년간 폐수를 처리하는 미생물연료전지를 연구해 왔습니다. 자연스럽게 인간 몸이 만들어내는 폐수, 즉 오줌에 관심을 갖게 됐죠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신경가소성을 이용한 방법이에요. 가림치료란 시력이 잘 안 나오는 눈을 되살리기 위해 반대로 잘 보이는 눈을 가리는 치료예요. 시력 발달이 더딘 쪽의 뇌를 발달시키기 위해 시력이 약한 눈에만 시각 자극을 많이 주는 거지요. 그럼 시각 자극을 많이 받은 쪽의 신경 경로가 활발하게 바뀌어 결국 ... ...
- [소프트웨어] 수학 알면 롸져~ 나도 파일럿!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착륙에 필요한 기계장치를 모두 접습니다. 착륙할 때는 바퀴를 꺼내고 이륙할 때와 반대로 양력을 줄여야 하죠.게임에서도 비행기에서 생기는 힘과 공기저항을 분석합니다. 그 중에서도 양력과 공기 저항력은 비행기의 기하학적인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힘을 구할 때 활용하는 함수는 같지만, ...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오르락내리락, 올라갔다 내려왔다를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은? 정답은 사인곡선!반대로 일정한 주기로 내려왔다 올라갔다 반복하는 것은? 바로 사인곡선을 왼쪽으로 조금 움직여 만들 수 있는 코사인곡선이다. 이 재밌는 곡선은 단순히 주기를 갖는 함수로만 의미가 있는 게 아니다. 오래전부터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존재하는 게놈에서 유전자를 하나씩 없애는 방식으로는 최소유전자를 확인할 수 없다. 반대로, 생명체의 설계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게 낫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 합성생물학이다.합성생물학에서는 유전자를 하나의 부품으로 본다. 마치 레고의 블록처럼. 만약 합성생물학의 관점대로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내가 인맥이 좋다’고 과시하는 행동이 더 큰 권력을 준다”고 이야기했다. 이와 반대로 혼자 밥을 먹는 건 아주 큰 사회적 불안감을 유발한다. 따라서 두 가지 입장에서 갈등하게 된다. 함께 식사를 하면서 자신이 집단에 공고히 소속돼 있음을 과시하되 그 대가로 사회적 스트레스를 감당할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