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험
고비
절박
긴급
위급
촉박
난국
d라이브러리
"
위기
"(으)로 총 1,906건 검색되었습니다.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받았다. 유독 ‘네이처’와 ‘사이언스’만 원자선의 가능성을 아직 인정하지 않는 분
위기
다. 지난 10년 동안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원자선 분야에서 베어 교수의 논문을 제외하고 단 한 편의 논문도 싣지 않았다.하지만 원자선은 현재 미국과 일본, 유럽 등지에 연구그룹만 약 20개가 있을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설계도만 그렸을 뿐 단 하나의 부품도 우주로 올리지 못했으며 계획 자체가 중단될
위기
에 처했다. 더군다나 1986년 우주왕복선 챌린저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반면 러시아는 같은 해부터 살류트보다 발전된 우주정거장 미르(평화란 뜻의 러시아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역설적이게도 ... ...
북극곰의
위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난 여름 미국 지질조사소의 과학자들이 북극곰의 서식지인 해빙을 조사한 결과 그 면적이 지속적으로 줄었다. 이대로라면 현재 1만 6000~2만 마리 정도인 북극곰 수가 2050년에는 3분의 2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급한 학생들을 볼 때 ‘저 친구는 이 길이 아닌데…’하는 생각이 든다. “진짜 이공계
위기
는 적성이 맞지 않는 학생들이 교수가 디자인한대로 실험을 하고 논문을 내 박사가 ‘양산’되는 현실입니다.스스로 연구를 설계하는 능력이 없으면 얼마가지 못합니다.”포닭 블루스는 단순히 웃기기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먹이를 먹는다. 몸전체가 둥그런 모양이다. ●금개구리 밝은 녹색을 띤 금개구리는 멸종
위기
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울음주머니가 없어서 큰 소리로 울지 못한다.아름다운 태안을 지켜 줘~솔직히 이야기하면 지금까지 나는 태안을 그저 겨울에 머물다 가는 곳으로만 생각하고 있었어. 그런데 이번에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희곡 ‘베니스의 상인’의 클라이맥스다. 고리대금업자 샤일록에게 빚을 갚지 못해 죽을
위기
에 처했던 안토니오는 재판관으로 변장한 포샤의 기지 넘치는 판결 덕분에 살아난다. 포샤가 판결문에서 언급한 ‘한 방울의 피’는 문학사상 가장 값진 피가 아니었을까.사실 어느 피 한 방울인들 귀하지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는 수원청개구리는 사람들이 그 존재도 알지 못하고, 흔한 청개구리로 취급해 멸종
위기
에 처해 있는 실정을 현실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이끼도롱뇽 또한 시급하게 보호를 받아야 할 종이다. 이 종이야 말로 세계적으로 귀한 생물자원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서식지가 개발 위험이 비교적 적은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급 비상이 걸린다. 소행성에 장착해야 하는 역추진로켓이 우주선에서 빠져나오지 않는
위기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통제센터의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코스모스와 똑같은 우주선을 작동시키며 해결책을 찾으려 하나 여의치 않다. 할 수 없이 우주왕복선의 선장은 베테랑 우주인 브루스 킴에게 ... ...
과학블록버스터 3부작 지구 미래 대예측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화석연료가 고갈될
위기
에 처하고 온난화에 시달리는 지구를 돌아보자는 의미에서 유엔이 정한 '행성 지구의 해'다. 영국의 과학자 제임스 러브록이 제시한 가이아이론에 따르면 지구는 생물뿐 아니라 대기, 대륙, 대양 같은 환경으로 구성된 하나의 유기체다. 이에 지구의 먼 미래를 대기학, 지질학,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데 실패했다. 게다가 살충제나 농약 때문에 생태계가 파괴되고 먹이인 곤충이 줄어 멸종
위기
에 처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크낙새 표본을 소장하고 있는 곳은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이다. 과거 창덕궁 동물원에서도 1943년에 사육한 적 있다고 전한다.목각표본으로 남은 비운의 원앙사촌Pseudotadorna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