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결과 혜성은 최소 16개의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뉴호라이즌 호,
인류
최초로 명왕성을 보다NASA의 무인 탐사선인 뉴호라이즌 호는 2006년 미국에서 발사돼 2007년 2월 목성에 230만km까지 근접했다. 뉴호라이즌 호는 목성의 중력을 이용해 속도를 높인 뒤 명왕성에 접근했다. 발사 ... ...
[과학뉴스] 이렇게 흥청망청 하다간… 2030년엔 지구 모자란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생산하는 자원과
인류
가 소비하는 자원이 균형을 유지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부터
인류
는 자원을 점점 더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고, 2000년대 초반에는 EOD가 10월까지 앞당겨졌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오는 2030년에는 지구가 두 개는 있어야 자원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고 GFN은 추정했다.마티스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공유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며 “서로가 유익한 정보를 공유해서 상생하는 것이
인류
를 위하는 과학자의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다섯 명의 21C 다산주니어들은 8월 3일 다산기지를 출발해, 다시 롱이어비엔과 오슬로를 거쳐 7일 한국에 돌아왔다. 21C 다산 주니어는 내년에도 북극에 간다.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뉴턴의 유율법은 역사의 기록으로만 남았습니다.미분과 적분의 발견은 수학은 물론이고
인류
문명의 방향을 바꿔놓았습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움직이고 변화하는 현상을 어려워했습니다. 수학자들도 멈춰 있는 대상만을 연구했죠. 하지만 우주의 거의 모든 것은 움직이고 변합니다. 지금 이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인류
가 처음으로 태양계의 끝 명왕성과 조우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7월 14일 오전 7시 49분 57초(한국시간 오후 8시 49분 57초), 명왕성 최근접점을 빠르게 지나쳤다고 밝혔다. 2006년 1월 19일 미국 플로리다 주의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아틀라스 V-551로켓에 실려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이 그리스인들의 유전적 변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Q 한국의 미래
인류
학자들에게A 역사와 고고학을 열심히 공부하길 바란다. 과학적인 질문을 첨단 기술로 분석하는 연구에도 이런 인문학적 지식이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자신의 일을 사랑하길 바란다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늘 ‘
인류
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말해왔다”며 “비록 생활에서는 쓰지 않는 숫자지만
인류
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남아있을 숫자를 정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9년 전 지구를 떠난 미국의 뉴호라이즌스 호가 한국 시각 7월 14일 오후 8시 49분 57초에 태양계 외곽에 있는 명왕성에 약 1만 2550km 거리까지 접 ... 그에 따른 과학기술 역시 제자리에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아주 먼 미래엔
인류
가 ‘제2의 지구’ 땅을 밟게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관측하게 되면 우주를 보는
인류
의 시야가 획기적으로 넓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블랙홀이다. 광학망원경이나 전파망원경처럼 빛을 이용해 관측할 수 없던 블랙홀도 중력파를 이용하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중력파 관측소는 미국에 있는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생선절임이 단연 손에 꼽힌다. 상하기 쉬운 생선에 소금을 쳐서 보관하면서
인류
는 짠맛에 더욱 길들여졌다. 최 이사는 “소금 섭취량이 가장 많았던 시대는 15세기 스웨덴”이라며 “1인당 연간 소금 섭취량이 무려 100g에 달했는데 소금에 절인 생선을 많이 먹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거꾸로 소금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