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점
좋은점
강점
이점
메리트
가치
매력
d라이브러리
"
장점
"(으)로 총 2,67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레이더로 추적하는 방법이 있다. 레이더의 경우 날씨가 나빠도 위성을 포착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하지만 탐지거리가 짧아 고도 3만 6000km 이상 떨어져 있는 정지궤도를 추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가격만 수천억 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군은 장기적으로 광학추적시스템에 이어 ... ...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어폰에 주목했다.이어폰은 내가 원하는 소리를 간편하게 이동하면서 들을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 하지만 오래 듣고 있으면 머리와 귀가 멍멍해지거나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곤 한다. 왜냐하면 이어폰에서 나오는 소리가 정수리나 귀 부근에 맺혀 자연스러운 울림과 잔향을 느끼지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실려 이 같은 연구를 뒷받침했다. 저주파 소리는 고주파 소리보다 멀리 전파된다는
장점
이 있다. 고양이과 동물은 커다란 이개(귓바퀴)를 갖고 있어 작고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잘 감지할 수 있다.호랑이를 애완용으로 키울 수 있을까지난 12월 8일에는 독일 함부르크의 한 서커스단에서 묘기를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활용하면 25세 이후 박사학위를 받고 30세 이전에 학술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 둘째는 현실적으로 대학 진학의 기회가 많아진다. 영재학교에서는 AP과정이나 R&E 프로그램, 논문 작성의 특별활동을 경험해 대학의 수시전형이나 입학사정관제도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된다. 무엇보다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직접 만들어 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 그러면 종이접기의 능력을 맛보기 전에 종이접기의 기본 공리를 살펴보자.종이접기의 기본 공리1991년 일본의 수학자 후미아키 후지타는 종이접기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종이접기의 기본 공리를 ... ...
수학적 사고력, 말도 잘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행사의 진행까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더 큰 활약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아나운서의
장점
은 방송 외에도 자신의 분야를 개척할 수 있다는 거에요. 입사 후에 방송을 하다가 다른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됐다면, 공부할 수 있는 길이 열려있어요. 오랜 방송생활로 토론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분이 되신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집에 굳이 쓸 필요가 없을 것이옵니다. 하지만 나무에는 다른 재료가 흉내낼 수 없는
장점
이 많사옵니다.”❶ 따뜻한 실내 | 나무로 만든 집은 단열성이 높아 따뜻하다. 원목으로 만든 벽 사이에 유리섬유를 넣으면 단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❷ 예쁜 무늬 | 나무 줄기는 여름과 봄에 각기 다른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CCS 기술을 도입한 발전소와 달리 아무 데서나 이산화탄소를 포획할 수 있는 게
장점
이다. 이산화탄소는 배출량이 지역마다 다르지만 대기 중 농도는 어디나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산화탄소 매장지에 위에 에어 스크러버를 설치하면 포획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시킬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하기 때문에 대신 용제의 휘발도를 높였다. 물에 번지지 않는다는 유성볼펜의
장점
을 여전히 갖고 있으면서도 쓰기도 한결 편하다.한편 ‘볼펜은 지워지지 않는다’라는 상식을 뒤집은 제품도 나왔다. 일본 파일로트사의 제품 프릭션(FriXion)은 지워지는 젤잉크를 쓴 제품인데, 글씨를 쓴 뒤 펜 끝에 ... ...
첨단토목기술 떠받치는 기둥, 철강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색을 칠했기 때문이 아니라 녹슬었기 때문. 물론 녹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이런
장점
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구조물에서 무도장강이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 채 1%가 안 된다.“양수대교를 놓을 때도 ‘녹슨 철강으로 다리를 짓는다’는 비난이 많았습니다. 또 처음 녹이 슬 때 속도가 달라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