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96화성탐사 퍼레이드과학동아 l1996년 11호
- 간의 거리 때문에 최소 6분에서 41분까지 통신지연이 생긴다. 따라서 부분적으로는 자동제어기능이 사용될 것이다. 이 로봇은 화성의 지형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자신의 바퀴자국을 촬영해 흙의 특성도 함께 알아 낼 계획이다. 알파입자-X선 분광기(APXS)는 토양과 암석의 성분을 분석하는 일을 한다 ...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과학동아 l1996년 10호
- 지상국을 경유해 NASA(미항공우주국)의 ‘심우주 통신망’을 통해 이뤄진다. 또 우주선의 제어 및 운용은 패서디나에 있는 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맡고 있다.갈릴레오의 임무는 목성과 이오, 에우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등 목성의 4개 갈릴레오위성에 대한 정밀 탐사를 골자로 한다. 물론 대적점과 ... ...
- 삐뚤어진 바퀴라야 바로 간다과학동아 l1996년 10호
- 부품의 부식이나 볼트 등의 조임 정도를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아무리 정밀한 컴퓨터제어 기계로 점검해도 바퀴와 연결된 각 부품들이 노후해져 ‘정도 이상의 틈새’(일명 유격)가 발생한다면 성능향상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중고차를 구매할 경우에도 반드시 주위에 자동차 ... ...
- 나도 공돌리기 재주꾼!과학동아 l1996년 10호
- 발생하는 카오스적인 현상이 저글 로봇 탄생을 방해하고 있다. 저글 로봇은 자유운동을 제어하는 로봇 개발에 매우 유용하다. 쓰레기를 청소차에 던지는 로봇, 보도블록을 까는 로봇, 물밑에서 용접하는 로봇 등의 개발과도 관련이 있다. 하지만 남대문 시장에서 저글하는 로봇을 구경하기는 아직 ... ...
- 2. 모자형 재킷형 손목시계형 PC 속속 등장과학동아 l1996년 10호
- 부딪히면 다치거나 죽는다’ ‘개는 물 수 있는 동물’ 등의 지식을 끄집어내 운동제어를 담당하는 소뇌에 정보를 전달, 길을 피하도록 명령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는 것이다.이러한 과정을 컴퓨터에 시키자면 지식 베이스의 구축을 포함해 슈퍼컴퓨터나 초대형 메인프레임도 감당하기 힘들만큼 ... ...
- 2. 전자기력이용 지구 중력 탈출한다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주변에 우리가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새로운 공간이 형성돼 중력을 제어한다는 가설은 깊이 있게 연구해볼만 하다. 허치슨 장치 - 공중에 띄우고 물질성분도 바꾼다전자기력을 이용해 중력장을 성공적으로 조절한 또다른 사람은 캐나다의 존 허치슨이다. 그는 두개의 커다란 ... ...
- X파일과 인디펜던스 데이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전쟁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공포의 극단적인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성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무엇’ 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공포가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 있는 것이다. ‘X파일’ 과 ‘인디펜던스 데이’ 의 상업적 성공은 그것이 ‘집단공포’ 를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그것은 ... ...
- 인터넷 딜레마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위치를 뜻하는 게이트 키퍼(gate keeper)라는 매스미디어 용어에서 유래. 시스템을 관리, 제어하고 최종 승인하는 프로그램.인터넷 로빈후드, 해커 인터넷의 또 하나의 딜레마는 '정보' 에 있다. 인터넷 시대에 정보는 힘이고, 권력이면서 동시에 돈이다. 그래서 컴퓨터만 있으면 언제든지 접근(access)해 ... ...
- 컬러 잉크젯 프린터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기존 방식과 달리 특수 진동판을 달아 분사압력을 높였다. 이로 인해 잉크꼬리가 제어돼 잉크의 응착력이 훨씬 높아지고, 최종적으로 섬세한 인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컬러의 명암 균형을 자연스럽게 처리하기 위해 잉크 입자를 균질하게 분사하게 된것도 새 기술의 결과다. 초당 영문2백자, ...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그것은 헛된 바램일까?용어설명인공두뇌학(cybermetics)제2차 세계대전 후에 생겨난 제어와 통신을 다루는 과학의 새로운 분야. 선박 조종술, 키잡이 등의 뜻을 가진 그리스어 kybernetes에서 파생된 말로서, 미국의 수학자이자 전기공학자인 노버트 위너(Nobert Wiener, 1894-1976)에 의해 널리 제창되었다.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