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들을 수 있어요. 그런데 2019년 1월, 생물음향학자 버니 크라우스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5년간 자연의 소리 크기가 절반으로 줄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연구진은 2005년부터 15년간 매년 5월 15일 아침 6시 35분에 미국 북부지역의 슈가로프 주립공원의 같은 장소를 찾아 그곳의 소리를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9 시대, 가난하면 더 아플까? 지난 5월, 마스크를 쓰고 열화상카메라를 지나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건물에 들어섰어요.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님을 만나기 위해서였죠. 김 교수님은 “딸들도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라며 기자를 반갑게 맞았어요. 인터뷰 내내 어린이들에게 ‘사회역학’이라는 ... ...
- [만화뉴스] 앗, 실수로 발견! 실크 단백질로 유통기한 늘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분야에선 종종 뜻하지 않은 실수가 신기한 발견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어요. 지난 6월 5일, 미국 농식품 벤처기업 케임브리지 크롭스는 소금과 물을 넣어 액체 상태로 만든 실크 단백질*로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는 포장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실크 단백질이 음식의 부패를 늦출 수 있다는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대기 불안정으로 좁은 지역에 강하게 내리는 집중 호우 경향이 클 것으로 보았어요. 지난 1월 국립기상과학원 송환진 박사와 서울대학교 손병주 교수 역시 최근 집중 호우 경향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최근 20년의 여름철 강수 위성 자료, 지상 자료를 분석해 한반도의 강수 ... ...
- [탐험대학] 자율주행, 공룡, 게임…?! 어떤 탐험을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지난 6월 6일, 서울 대학로에 위치한 스토리스튜디오 혜화랩에서 2020 탐험대학 온라인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됐어요. 코로나19로 인해 10명의 탐험대학 멘토와 50명의 청소년의 첫 만남은 온라인으로 진행됐지요. 온라인이란 걱정이 무색하게 오리엔테이션은 시끌벅적 활기찬 분위기로 진행됐답니다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설치해요. 일부는 수거하고, 나머지는 바다에 묻거나 해빙 위에 올려두고 오죠. 그런데 지난 탐험에 북극곰과 헤프닝이 있었어요. 설치해둔 기기에서 데이터를 받는데, 갑자기 끊긴 거예요. 돌아가 보니 북극곰이 기기를 툭툭 치고, 헤집어놓은 거였어요. 물론 모르고 그런 거겠죠(웃음). 아라온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관측했어요. 최근 우주 다른 곳에서는 행성이 만들어지는 모습도 발견되었어요. 지난 5월 20일, 파리천문대의 안토니 보칼레티 박사 연구팀은 원시 행성계 ‘AB Aurigae’에서 행성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AB Aurigae는 마차부자리에 있는 원시 행성계로 지구에서 520광년 떨어진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마스크를 착용하고 수시로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교육부는 지난 8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수능 시험장 내 책상에 불투명 아크릴판으로 만든 가림막을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0월 26일 유은혜 교육부 장관은 “자리에 앉아 점심 식사까지 해야 하기에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Band Gap)을 조절할 수 있다. 필자가 속한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은 지난 7월 다층 그래핀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이 될 발판을 마련했다. 고품질의 그래핀을 4층으로 쌓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번에 고안해낸 합성법을 이용하면 다층 그래핀을 수십~수백cm2의 대면적으로 생산할 수도 ... ...
- [과학뉴스] 태양, 어떻게 태어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어떻게 태어났을까요? 지난 5월 25일, 스페인 카나리아 천체물리학연구소(IAC) 토마스 루이스 라라 박사팀은 태양이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와 우리은하가 충돌해 생겼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우리은하 질량의 1만 분의 1 정도로 작은 위성은하예요. 말 그대로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